이 얘기는 자기 군사력의 강함만 믿고 뽐내는 군대는 반드시 패한다는 뜻이다. 고사성어가 그렇듯 중국인들은 실제적인 일에서 교훈으로 삼는 일이 많다. 강력한 군사력이 나라 간의 자웅을 견주는 기준이 확고하던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를 비롯해 고대 서양 역시 비슷한 양상이었다. 우월적 군사력을 과시하며 패권을 자랑하던 강국들도 예상과는 달리 상대도 안 되던 약소국에 패하는 일도 종종 있었다. 기원전 68년, 한나라 선제(宣帝)가 서북 오랑캐인 차사국(車師國)을 쳐서 이기긴 했으나 차사국이 항복했다는 소리에 근접 부족국가였던 흉노족이 융기하게 되었다.
차사국이 한나라의 영토가 되면 필연적으로 흉노와 등을 맞대는 꼴이니 더 늦기 전에 차사국을 공격하게 된다. 그런데 차사국과의 전쟁에는 이겼으나 사납고 날랜 기병을 보유한 흉노는 그리 만만히 볼 상대가 아닌 데다가 한나라의 파병군들은 흉노족에게 포위당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파병군은 급히 조정에 파발을 띄워 구원군을 청했고 관료들은 구원군을 보내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로 시끄러웠다. 이때 한나라의 승상(丞相)인 위상(魏相)은 출병을 반대하면서 "큰 나라가 외국에 함부로 위무(威武)를 과시하는 것을 교병이라 하는데 '교병은 반드시 패하고 맙니다.
여기서 교병필패라는 고사가 탄생하게 된다. 결국, 파병은 유보되고 한나라의 군사들은 아깝지만, 차사국을 버리고 필사의 탈출을 감행했다. 이는 군대의 경우를 들어서 얘기하고 있으나 사람들의 삶에서도 통용된다. 교만은 그 어떤 경우에도 득이 될 수 없고 오히려 화를 불러들이는 원인이다. 팔자八字에 인성 관성 없이 양간陽干일 때, 살이 제어가 안 되면 아첨도 심하고 자기 잘난 맛에 산다는 소리를 듣는다. 자만이 지나쳐 교만하거나 오만하기에 십상으로 교병필패를 기억하시라.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