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신내림(1)

image

 

어느 아가씨가 필자를 찾아왔다. 듣자 하니 아가씨의 외할머니가 무속인이었다. 가족 중에 신내림을 받은 이가 있으면 보통 모계로 전해진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어머니는 평범하게 지내다가 결혼을 하여 자신과 남동생을 낳고 보통의 삶을 살았다. 자신 역시 별일 없이 잘 지내왔고 대학을 졸업했으며 학부 때부터 사귀던 남자 친구와도 알콩달콩 지내왔다. 그런데 무슨 이유인지 남자 친구가 결별하자니 마음은 몹시 우울하며 언젠가 자신의 외할머니 얘기를 한 적이 있는데 혹시 그것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단다.

 

무속인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신령을 섬겨 길흉(吉凶)을 점치고 굿을 주관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남성들보다는 여성들에게 무속인이 많다. 유전적 요소로 자녀들에게 DNA가 전달되는 것이다 보니 신내림의 성향이 모계 전통이 강한 것도 어떻게 보면 외부적 요인이 적지 않다. 점사를 보러 다니거나 하는 일은 양반네거나 평민네거나 대체로 아녀자의 몫이었다. 집안의 이런저런 일을 물어보기에는 남녀가 유별한 유교 사회에서는 여성 무속인이 편했을 것으로 자연스럽게 여성들이 무속 일을 하는 것이 더 많았다.

 

신분적 사회에서 백정의 자손은 자연스럽게 백정밖에 할 일이 없었던 것이다. 신발을 만드는 갓바치 역시 아버지에게 배운 기술을 이어받아 생계를 꾸려나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니, 무속의 직업 역시 세습되는 상황일 수밖에 없었다. 자연스럽게 신내림의 전통이 내려갈 수밖에 없음이다. 그러나 무속인은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면서도 영적 감수성과 직감이 뛰어난 누구라도 무속인이 되지 말란 법이 없다. 어이 됐거나 필자를 찾아온 아가씨는 그냥 이성 운에 변화가 오는 시기일 뿐이었고 남자 친구와도 궁합이 그리 맞는 편은 아니었으니 결코 아쉬워할 일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