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봄을 세우는 소리

image

 

입춘날은 그리도 날씨가 좋고 화창하더니 그다음 날엔 봄이 오는 것을 시샘하는지 밤사이부터 눈이 흩뿌리더니 비와 섞여 눈인지 비인지 모르게 눈비 싸라기(?)가 흩날렸다. '봄을 세우는 날' 입춘(立春) 턱을 톡톡히 한 셈이다. 개나리는 멍울을 틀 것이고 진달래는 슬슬 가지에 물을 품어 들일 것이다. 봄이 오는 소리를 여러 가지로 느낄 수 있지만, 필자의 봄은 고로쇠 물과 함께 비로소 시동을 건다. 필자의 오랜 인연 신도는 해마다 고로쇠 물이 나올 때쯤이면 그 첫 물을 받았다며 몇 병씩이 보내 주곤 한다. 고마울 따름이다.

 

고로쇠는 단풍나뭇과에 속하는 나무로서 겨울을 보내고 응집된 땅속 수분과 함께 뿌리에 저장해둔 양분을 빨아올리는데, 이것을 채취한 물이 고로쇠 수액이다. 그러니 봄은 고로쇠 물과 함께 찾아온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고로쇠 물도 채취하는 조건이 봄이라고 한다. 밤엔 영하 5도 이상으로 떨어져야 하고, 낮엔 영상 7~8도 정도로 올라야 수액이 잘 나오니 결국 기온 차가 클수록 물맛도 좋단다. 각종 미네랄과 칼슘과 마그네슘이 풍부하고 물을 마셔보면 살짝 단맛이 나는데 이는 포도당과 과당 또한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캐나다에는 단풍나무가 나라의 대표적인 상징인 것처럼 고로쇠나무와 같은 과인 단풍나무 수액을 끓이고 졸인 것이 그 유명한 '메이플 시럽'이다. 보아하니 사람은 자연으로부터 엄청나게 많은 선물을 받고 있는 것이다. 세상에 나무 수액까지 이렇게 쪽쪽! 받아 챙기다니. 갑진년 입춘날 필자가 주석하고 있는 월광사의 정례 일요 법회와 입춘이 겹치기도 하여 기도에 동참한 신도분들께 입춘첩을 나눠드리며 구례 신도분이 보내 준 고로쇠 물도 작은 양이나마 함께 나눠마셨다. 가내의 평안과 건강을 기원하며. 무탈하고 건양함이 항상 하길 기원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