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OCI·한미약품 "이종 산업 간 결합은 세계적 트렌드"…모범 사례는

글로벌 신재생에너지·첨단소재 전문기업 OCI그룹과 신약개발 전문 R&D 중심기업 한미약품그룹이 동반 상생 경영체제의 통합을 발표하면서 이종 산업 간 통합 성공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글로벌 시장에서의 제약·바이오산업과 이종 산업 간 M&A 거래건수는 966건으로 전체 M&A 거래건수 중 67.2%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번 OCI와 한미의 통합이 눈길을 끄는 건 양사의 장점을 새로운 시너지로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의 개념이기 때문이다. 보통 큰 기업이 작은 기업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M&A와는 달리 OCI와 한미는 각 그룹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상생 동반 경영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했다.

 

재계 순위 30위권인 OCI그룹의 지주회사 OCI홀딩스의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조6500억원(사업회사 OCI 포함 결합 매출액 약 4조6750억원), 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는 1조2500억원 매출(사업회사 한미약품 포함 결합 매출액 약 2조8700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통합 결정으로 OCI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현금 창출력, 신약개발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한미약품의 결합으로 향후 바이오 업계에서의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바이오 업계에서는 수십년 전부터 최근까지 꾸준하게 이종 산업 간 결합이 이어져 오고 있다. 시너지를 거듭하며 글로벌 탑티어 제약·바이오회사로 성장한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와 바이엘은 시너지를 거듭하여 글로벌 탑티어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성장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2022년 매출 443억5100만달러를 기록했다. 회사는 제네카(Zeneca)와 아스트라AB의 통합으로 탄생했다. 제네카는 지난 1926년 영국 4개 화학회사의 합병으로 탄생한 ICI(Imperial Chemical Industries)가 모태다. ICI는 일반 화학물질과 플라스틱, 의약품 및 특수제품을 제조하는 기업이었다. 지난 1993년 생명과학·제약부문 사업을 분할해 '제네카'를 만들었으며 이후 사업 고도화와 확장을 원하던 중 지난 1998년 스웨덴 제약사 아스트라AB와 통합했다. 합병 전 양사의 매출은 지난 1997년 기준 제네카 85억7000만달러, 아스트라 65억8000만달러였다.

 

올해 설립 161년을 맞는 독일의 화학·바이오 기업 바이엘(Bayer)은 석유·화학으로 출발했으며 지난 2022년 기준으로 83개국 354개의 연결회사를 보유한 '제약바이오 공룡'이다. 지난 2018년 회사 매출보다 큰돈을 투자하며 세계 최대 종자회사 몬산토와 통합했다. 지난 2020년에는 애스크바이오를 인수해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에 진출했다. 지난 2022년 바이엘의 매출은 507억 3900만유로 수준이며, 이 가운데 R&D(연구개발) 비용으로 약 13%인 65억 7200만유로를 투자하는 등 미래 먹거리 발굴에 매진하고 있다.

 

한미그룹과 OCI그룹의 통합 경영의 롤모델은 바이엘이다. 이우현 OCI 회장은 최근 한미약품그룹과의 통합 이유에 대해 "석유·화학에서 제약·바이오 탑티어 기업으로 변신한 독일 바이엘의 길을 따라가려고 한다"고 밝힌 바 있다.

 

OCI그룹은 지난 2018년 부광약품과 조인트벤처 설립을 시작으로 지난 2022년에는 부광약품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며 제약·바이오 분야로 본격 진출했다. 이후 전략적인 투자와 이번 한미와의 통합까지 이어지며 OCI그룹은 바이오 분야의 경쟁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한미약품그룹도 글로벌 빅파마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자금과 고급 인재 영입이 절실한 상황인데, OCI그룹과의 통합 경영으로 규모의 경제 달성은 물론, OCI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까지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바이오가 정보기술(IT) 분야는 물론, 화학과 소재, 가전, 에너지, 식품 등 모든 산업과 융합할 수 있는 시대이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활발한 산업간 융합, 결합을 진행하고 있다"며 "OCI와 한미약품의 통합 경영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이 같은 시도는 더욱 잦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