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무재칠시(無財七施)

image

 

무재칠시(無財七施)는 재물이 아니더라도 타인에게 또는 사찰이나 여러 사회기관에 베풂을 나눌 수 있음을 뜻하는 불가에서 사용하는 말이다. 불가의 가르침에서는 원인 없는 결과가 없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누가 부자로 살거나 명예가 높다면 이는 반드시 전생의 지은 원인에 관한 결과로 보고 있다. 반대로 뭔가 일이 잘 풀리지 않고 어려움이 많다면 이 역시 전생에 지은 것을 이생에 받고 있다고 보는 것이어서 언제라도 내가 짓고 말하고 하는 행위와 생각들을 잘 알아차리며 행할 것을 강조한다.

 

석가모니가 계시던 당시에도 사람들이 살아가며 겪는 복락과 괴로움은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때에도 어떤 이가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 게 없으니 무슨 이유인지를 석가모니를 찾아가 물었다. 그것은 남에게 베풀지 않은 탓이라고 말씀한다. 그러자 그는 "남에게 줄 것이 있어야 주지요?" 그러자 부처님은 재산이 없더라도 줄 수 있는 일곱 가지를 말씀했다. 첫째는 화안시(和顔施)이니 얼굴에 화색을 띠고 부드럽게 남을 대하는 것이요, 둘째는 언시(言施)로 사랑과 칭찬 격려의 말로서 베풀 수 있음을. 셋째는 심시(心施)이니 마음의 문을 열고 따뜻한 마음을 주는 것이다.

 

넷째는 안시(眼視)이니 호의를 담아 보는 것으로서 베푸는 것이요, 다섯째는 신시(身施)로서 남의 짐을 들어 준다거나 하여 몸으로 일을 돕는 것. 여섯째는 좌시(座施)로서 앉을 자리나 누울 방을 양보하거나 편안한 거처를 마련해 줌이요, 일곱째는 찰시(察施)로서 굳이 묻지 않고 상대의 속을 헤아려 도와주는 것이니 "네가 이 일곱 가지를 행하여 습관이 붙으면 너에게 행운이 따르리라." 라고 했다. 위 얘기는 불교의 경전 '잡보장경'에서 재물이 아니어도 남을 도울 수 있음을 알려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