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친환경' 물결 타는 석화업계…기업 간 협력으로 미래 선점 나서

LG화학 대산공장 전경 / LG화학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기업 간 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갈수록 증가하는 친환경 수요를 흡수하고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석화업계가 협력사와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친환경 제품 개발과 공급망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동종업계와의 협업이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금호석유화학은 SK지오센트릭, 동서석유화학과 지속가능한 바이오 원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바이오 모노머 공급망을 확보하고 올해 1분기 내로 합성고무, 합성수지 제품에 대한 국제 친환경 인증인 ISCC PLUS 인증을 추가해 친환경 제품군을 확대할 계획이다. 바이오 모노머는 유채씨유, 폐식용유 등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바이오 납사로부터 생산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이종 산업의 결합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패션 브랜드와 손잡고 재활용 소재 고객사를 확대하는 데 나서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글로벌 폐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60조원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7.4% 이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시장은 오는 2027년 85조원, 2050년에는 60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석화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환경 규제로 인해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경영 강화 취지에 맞게 미래 고객사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지난 2023년 10월 화장품 연구·개발·생산 기업 코스맥스와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 화장품 용기 개발 협력에 나선 바 있다. 코스맥스에 재활용 플라스틱 PCR(Post-Consumer Recycled),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를 공급하고 화장품 용기 개발에 매진한다는 전략이다.

 

SK케미칼은 기존보다 온실가스 발생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옥수수 기반 바이오 소재 '에코트리온'을 의류 제조회사 한섬에 제공한다. SK케미칼은 에코트리온 소재의 장점을 적극 알리고 바이오 소재에 관한 고객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섬 제품 품질 표시표에 에코트리온 소개화면으로 연결되는 QR코드를 부착했다. 회사는 한섬과 협업을 계기로 향후 에코트리온 적용처를 확대하고 바이오 소재의 장점을 알려나갈 방침이다.

 

해외 합작법인을 출범해 글로벌 파트너기업과의 사업 협력을 다각화하는 모습도 눈에 띈다. 국내 석화업계 산업이 부진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히겠다는 목표다.

 

SK지오센트릭은 중국 국영 석유기업 시노펙과 합작한 '중한석화'를 통해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을 함께 진행 중이다. 시노펙 외에도 해외 각국의 화학기업과 기술 제휴를 강화해 활용도가 높은 고부가 화학제품 생산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특히 캐나다 기업 '루프'가 보유한 기술 중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의 일종인 해중합 기술을 확보해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재생수지로 재활용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석화업계 관계자는 "친환경 사업이 당장의 매출 실적에는 크게 도움이 되진 않지만 업계에서는 지속가능경영 관점에서 미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