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보험, 유튜브에 빠져들다"…업계, '콘텐츠 전쟁'

보험업계 '콘텐츠 전쟁'...유튜브 활용 나서
DB손보, 구독자 1위...1분 내외 영상 인기
삼성화재·KB손보, 쉽고 편안한 콘텐츠 제공

유튜브가 보험사들의 주요 소통 채널로 자리잡으면서 보험업계가 유튜브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유토이미지

보험업계가 유튜브 콘텐츠 전쟁에 뛰어 들었다. 유튜브가 보험사들의 주요 소통 채널로 자리잡으면서 보험을 고객의 일상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들려는 포석이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유튜브 마케팅 전략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DB손해보험은 보험사 가운데 가장 많은 유튜브 구독자를 확보 중이다.

 

지난 2월 기준 DB손해보험 유튜브 채널 '프로미TV-DB손해보험'의 구독자는 34만5000명이다. DB손해보험은 지난해 6월 이미 구독자 30만명을 달성해 보험업계 최초로 '실버버튼'을 획득한 바 있다.

 

DB손해보험은 주요 콘텐츠를 1분 내외의 영상으로 제작했다. 이벤트 및 신상품 소개, DB손해보험의 주요 소식을 정리한 'DB손해보험 NOW' 등을 콘텐츠로 다루고 있다. 특히 '펫블리 반려견&반려묘 보험' 영상은 공개한 지 3주 만에 조회수 114만회를 기록했다.

 

DB손해보험 관계자는 "다른 금융업계 유튜브보다 DB손해보험은 새로운 콘텐츠와 함께 관련 이벤트 영상도 계속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화재는 지난 1월부터 유튜브 시리즈 '보험챗'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 손해보험업계 당기순이익 1위인 삼성화재이지만 2월 기준 유튜브 구독자는 2만8800명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보험챗은 삼성화재의 본업인 보험을 쉽고 간단한 '담소(chat)'를 통해 설명한다는 의미다. 사회초년생 역할을 하는 진행자의 생생한 질문에 직원이 답하고 시청자들이 실제 궁금해할 만한 내용을 쉬운 언어로 재해석해 전달한다.

 

보험챗의 첫 주제는 사회초년생을 위한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이다. 삼성화재는 현재 '보험챗 EP.3'까지 공개했고 3개 영상의 누적 조회수는 1만8400회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이번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의 보험 이해도를 높여 일상 속 보험의 가치를 알리고 삼성화재의 우수한 상품, 서비스도 함께 홍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B손해보험은 지난 12월부터 'KB 금쪽같은 펫보험' 출시 6개월 기념 유튜브 콘텐츠 '프로펫셔널' 시리즈 공개했다. 2월 기준 KB손해보험의 유튜브 구독자는 11만6000명으로 DB손해보험에 이은 손보업계 2위다.

 

KB손해보험이 자체 기획하고 제작한 프로펫셔널은 본인의 일에 프로페셔널한 사람들이 어떻게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지 보여주는 펫라이프 콘텐츠다. 영상에는 셀럽 출연진의 반려동물이 사회자가 돼 반려동물의 질문에 대답하는 '펫터뷰', 반려동물을 위해 준비한 '내 펫에게 주는 선물' 등의 내용이 담겼다.

 

KB손해보험은 지난 1월까지 총 7개의 프로펫셔널 에피소드를 공개했다. 영상 시청 후 댓글을 남기면 추첨을 통해 경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영상의 평균 조회수는 2만회가 넘을 정도로 인기가 있다.

 

KB손해보험 관계자는 "직업과 일상의 모습은 각자 다르지만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은 같을 거라는 생각으로 이번 콘텐츠를 기획했다"며 "영상을 통해 많은 반려인들이 평소 고민하고 공감하는 부분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