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소형의 본초 테라피] 제주도에 고사리 채취 열풍이 부는 이유는?

김소형 한의학 박사

나물의 계절이 왔다. 농업 기술이 워낙 발달한지라 사실은 '봄나물'의 주된 재료들도 얼마든지 계절을 가리지 않고 구할 수 있지만 그래도 봄이 되면 특히나 나물 반찬이 생각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본격적으로 봄이 되면 나물 반찬의 대표 재료 중 하나인 고사리 채취가 시작된다. 특히 근래 들어 제주도는 4월만 되면 고사리를 따기 위해 전국에서 몰려드는 사람들로 몸살을 앓을 정도다.

 

나물은 물론 육개장과 녹두전의 대표적인 재료로 인기가 높은 고사리는 그 특별한 맛과 식감에 더하여 몸에 좋은 영양소가 가득하다고 알려지면서 더욱 사랑을 받고 있다. 90% 이상 수분으로 구성된 고사리는 칼로리가 낮으면서도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다. 변비나 체중 관리 그리고 피부 미용 때문에 고민이 많은 사람들에게 고사리는 탁월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고사리에는 필수 미네랄 역시 골고루 들어있다. 짠 음식을 즐기는 한국인들에게 나트륨 배출을 위해 꼭 필요한 미네랄인 칼륨을 비롯하여 철, 인, 마그네슘 등이 풍부하며 특히 구리와 망간이 많이 들어있다. 비타민 중에서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베타카로틴 그리고 신체의 성장과 발달에 관여하는 리보플라빈, 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K 함량이 눈에 띈다.

 

한방에서 찬 성질을 가진 고사리는 열을 내리는 데 효과가 있다. 현대인들은 과도한 학업, 업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데 이럴 경우 심장, 간 등에 뜨거운 기운이 쌓이게 된다. 얼굴이 화끈거리거나 명치가 꽉 막힌 느낌이 들면서 소화불량에 시달리기 쉬운데 고사리와 같이 찬 성질을 가진 식재료가 도움이 된다.

 

고사리는 맛도 좋고 몸에도 좋지만 조리법만큼은 신경을 써야 한다. 독성 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이 독성을 빼기 위해서는 생것이든 말린 것이든 푹 삶은 후 일정 시간 이상 찬물에 담가 두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만 거치면 얼마든지 몸에 좋은 고사리 요리를 즐길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