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韓 이동통신 40주년…"AI 전환으로 미래 준비해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대한민국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왼쪽부터) 윤동섭 연세대학교 총장, 유영상 SKT 사장, 김용학 SKT 이사회 의장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바른 ICT

연세대 바른ICT연구소가 개최한 국내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정부, 학계, 산업계가 인공지능(AI) 전환에 주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5일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는 'AI 시대, ICT가 가야 할 길'을 주제로 대한민국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를 개최했다.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는 이동통신 40주년을 맞아 그간 ICT 영역의 성과를 돌아보고, AI 시대에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ICT의 역할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 참석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전기가 20세기 경제와 일상을 통째로 바꾼 것처럼 AI가 21세기 산업과 생활을 전면적으로 혁신할 것"이라고 5일 강조했다.

 

유 사장은 "이동통신은 지난 40년간 국민의 삶을 전면적으로 변화시키고 대한민국 ICT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며 "40년 역사를 뒤로하고 새롭게 AI 시대에 직면했다"면서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올해 창사 40주년을 맞이한 SK텔레콤도 그간 축적해 온 역량과 자산을 토대로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 다시 한번 대한민국 산업 부흥에 기여하고 'AI 강국 대한민국'을 견인하는 새로운 사명을 실현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어 축사에 나선 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AI가 산업과 사회 모든 영역에 걸친 패러다임 변화를 촉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 주요국들은 글로벌 AI 주도권을 선점하고 AI로 자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6G 기술 개발 표준화, AI 일상화 주도

 

다음 순서에서는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과 권남훈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각각 '이동통신 40년 성과와 향후 ICT 정책 방향'과 'AI 시대, ICT가 가야 할 길: 전망과 과제'라는 주제로 각각 발표 했다. 김 통신정책관은 지난 40년 ICT 분야의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기반 대한민국 대전환 견인'인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 통신 시장 경쟁구조 개선 및 경쟁 활성화를 통한 국민 편익 증진과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고도화 하고 차세대 네트워크(6G) 관련 SW 중심 미래 기술 트렌드를 반영하는 6G 기술 개발 표준화를 주도할 것을 제시했다.

 

또 2026년 프리 6G 시연에 이어 조기 상용화(2028~2030)를 이루는 동시에 AI 혜택을 국민 삶 전반에 확산시키는 'AI 일상화'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혁신 AI 인프라 고도화, 글로벌 AI 파트너십 확장 등을 지속할 예정이다.

 

권남훈 교수는 이동통신 산업 발전 방향성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이동통신이 음성 중심(1차 진화)에서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2차 진화)를 넘어 5G/6G기반 융합 서비스(3차 진화)로 확장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 교수는 융합 시대의 ICT 정책은 이동통신 중심의 생태계에서 서비스·기기·플랫폼·콘텐츠가 대립적 구도를 벗어나 선순환 고리를 회복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신업 넘어 AI 전환 함께해야

 

참석자들은 AI 시대에 적절한 대응 여부가 기업, 산업, 국가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고 통신사업자들은 통신을 넘어 기업간거래(B2B), 기업소비자간거래(B2C) 영역의 AI 전환에 조력자가 돼야 한다고 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전환을 이루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주도적 노력과 AI 인프라 구축을, 정부는 산업 육성 패키지와 규제 완화 등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김범수 연세대 바른ICT연구소장은 "AI의 발전은 우리 삶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되지만, 한편으로는 예측할 수 없는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으므로, AI가 가져올 변화에 대한 예측과 이에 대한 차분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