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슈퍼 화요일'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먹통…"특정 조직 공격 징후 없어"

인스타그램 아이콘. /pixabay

미국 대통령선거 경선의 분수령으로 곱히는 '슈퍼 화요일', 미국 주요 빅테크 기업이 운영 하는 SNS가 대규모 접속 중단 사태를 겪었다.

 

6일 오전 0시부터 약 2시간 가량 메타가 운영하는 SNS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2시간 가량 멈췄다가 복구됐다.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로는 5일 오후 9시경 장애가 시작됐다.

 

기존 로그인 된 계정이 로그아웃 된 후 로그인이 불가능해지거나 혹은 자신의 피드가 보이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 2021년 6시간 가량 먹통이 된 대규모 장애 이후 처음이다. 현재 페이스북 단일 SNS만으로도 이요자의 수는 30억 명에 달한다.

 

인터넷 모니터링 기업 넷블럭스는 엑스(X·옛 트위터)는 "메타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신저, 스레드 등이 여러 국가에서 로그인 관련 접속 중단을 겪고 있다"면서 "특정 국가 차원의 인터넷망 장애나 접속차단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접속 장애가 발생한 이날은 미국 16개 주, 1개 미국령에서 미국 대선 후보 경선이 치러져 이번 장애 사실을 두고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일부에서는 경선 방해를 위한 러시아와 중국 해커 조직의 공작이라는 음모론도 제기됐다. 미국 정부 측에서도 이번 장애를 예의주시했으나 관련한 사이버 공격 징후는 발견하지 못 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월스트릿저널은 메타가 접속장애 원인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으나 내부 시스템 또한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어 페이스북의 네트워크 라우팅 정보 변경이 접속 장애 원인일 것으로 추정했다. WSJ는 "바이든 행정부는 '슈퍼 화요일' 투표를 방해하려는 구체적이고 근거 있는 위협을 확인하지는 못 했으나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AP 통신 측에서는 이번 접속 장애가 오는 7일 유럽연합(EU)의 빅테크 규제를 위한 디지털 시장법(DMA법) 시행을 앞두고 발생한 만큼 해당 작업과의 연관성을 추측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치러진 민주당 코커스(당원대회)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매사추세츠 등 모두 15개주와 미국령 사모아에서 동시에 민주당 경선이 치러진 가운데, 동부시간 오후 11시 기준으로 모두 낙승했다.

 

공화당 소속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또한 같은 시각 기준으로 버지니아, 노스캐롤라이나, 메인, 오클라호마, 앨라배마, 텍사스, 콜로라도, 캘리포니아주 등 12개주의 공화당 경선에서 니키 헤일리 전 유엔 대사에 승리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