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기고] 채용사이트에 프로필 숨긴 인재가 더 많다

탤런트뱅크 김민균 대표

 

'1400만명'.

 

각종 채용플랫폼에 자신의 프로필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이직 의향을 가진 '샤이 경력직' 숫자다. 반대로 프로필을 공개하고 적극적으로 구직·이직 활동을 하고 있는 직장인은 400만명이다.

 

최근 한 채용플랫폼 설문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90% 이상이 올해 이직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즉, 프로필을 비공개해 기업 입장에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경력직 1400만 명도 사실은 대부분 조건만 성립되면 이직을 고려할 대상이란 뜻이다.

 

이직 제안에 열려있지만 스스로 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하진 않는 경력직 인재를 찾기 위해 기업들이 통상 활용하는 것이 서치펌(헤드헌팅 업체)이다.

 

하지만 기업고객의 채용 의뢰를 받은 헤드헌팅 업체들도 결국에는 대형 채용플랫폼에 등록한 프로필이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서칭해 접근하는 수준에 그친다. 소속 헤드헌터들의 자체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해도 커버할 수 있는 산업·분야 영역의 한계가 분명한 문제도 존재한다.

 

전문가 네트워크 플랫폼 탤런트뱅크가 최근 선보인 '전문가 인재추천' 서비스가 이러한 헤드헌팅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이 될 수 있다.

 

탤런트뱅크 전문가 인재추천은 기존 채용플랫폼 프로필 서치 기반 헤드헌팅 서비스에 전문가 인적 네트워크 서치를 결합해 '투트랙 서치(2-Track search)'로 기업이 필요한 핵심 인재를 더욱 효과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다.

 

탤런트뱅크는 1만8000명의 가입 전문가 중 절반 가까이가 삼성·SK·LG·현대차 등 10대 대기업 C레벨 임원 출신으로, 경영전략·마케팅·인사·재무·IT·디자인 등 비즈니스 전 범위에 걸친 방대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기업의 헤드헌팅 채용 의뢰가 들어오면 즉시 해당 분야 및 업종과 관련된 가입 전문가들에게 자동으로 알림을 발송한다.

 

공고 알림을 받은 전·현직 전문가들은 자신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채용사이트에서는 찾을 수 없었던 숨겨진 인재를 추천할 수 있다. 일반 헤드헌터와 비교해 현업에 대한 이해도와 인사이트가 남다른 전문가 추천이기 때문에 자체적인 레퍼런스 체크에 의한 신뢰도 제고 역시 기대할 수 있다.

 

탤런트뱅크는 전문가 인재추천을 통해 합격한 구직자에게는 취업축하금 50만원을, 추천 전문가에게는 성공수수료(직급별로 상이)를 지급함으로써 적극적인 인재추천을 독려하는 보상도 확실하게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합격자에게는 자동으로 탤런트뱅크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탤런트뱅크 전문가는 현업에 종사하면서도 자문·리서치·시장조사·세미나·강연 등 다양한 형태로 자신의 산업 인사이트를 기업 고객에 전달할 수 있는 전문가 자문 서비스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추천을 받았던 것처럼 인재추천 헤드헌팅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현장에서 회사 인사 담당자들을 만나보면 제대로 된 경력직 인재를 채용플랫폼만으로는 찾기 어렵다는 고충 섞인 목소리가 많이 들린다.

 

단순히 빠른 매칭이 중요하다면 AI 알고리즘에 의한 추천이 더 나은 대안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채용 및 헤드헌팅 서비스에 한계를 느낀 기업이라면, 현장의 숨은 인재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전문가 네트워크의 힘을 경험해 보시길 권유하고 싶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