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해 불황을 겪고 있다. 이에 업계는 자회사 매각, 공장 매각을 통한 한계사업 정리에 나서는 등 사업 구조를 재편하는 등 실적 반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13일 석화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이 이달 말 여수 스티렌모노머(SM)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SM은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에 쓰이는 원료다.
LG화학 관계자는 "중국의 공장 증설과 공급 과잉으로 인해 시황이 악화되어 공장 가동 중단을 검토 중"이라 밝혔다.
앞서 LG화학은 지난 2023년에도 IT 소재 사업부의 필름 사업 중 편광판 및 편광판 소재 사업을 중국 업체에 매각한 바 있다. 지난 2021년에는 여수 NCC(나프타분해설비) 2공장 증설을 포함해 2조6000억원의 투자를 단행했으나, 업황 불황에 따라 매각을 통한 신규 투자금 확보에 나설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LG화학 NCC 공장은 업계 시황이 좋지 않아 가동을 중지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케미칼 또한 지난 2023년 중국 내 범용 제품 공장을 모두 매각한 데 이어 1조5051억원에 인수했던 말레이시아 법인 '롯데케미칼타이탄(LC타이탄)'의 매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롯데케미칼은 LC타이탄을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한 상태다.
석화업계는 사업 중단 및 축소 단행의 요인으로 중국 내 시장 변화 영향을 꼽고 있다. 중국 내에서도 공급 과잉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고 제조가 이윤을 남기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자 기초소재 공장의 매각과 구조조정에 나서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 석화업계 또한 기초소재 공장을 정리하고 스판덱스 등의 합성수지, 이차전지 소재 등으로 사업을 재편하는 방안을 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NCC 매각이 이어질 것이라고 보는 동시에 이를 통한 사업 체질 변화에 나설 것으로 분석한다. 이는 매각을 통해 자금을 확보한 뒤 신성장동력 마련에 투자하겠다는 전략이다.
중국발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매수자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석화업계는 체질 개선을 위해 적자를 감당하더라도 매각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업계 관계자들은 에틸렌 등 석유화학 제품의 기초 원료와 범용 제품에서 불순물을 걸러내 순도를 높이는 기술은 중국 대비 국내 기술이 월등하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이를 통해 기술력에서 우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겸 한국석유화학협회장은 올해 초 '세계경제포럼(WEF)' 홈페이지에 게시한 기고문을 통해 "중국의 석유화학 기초유분 자급률이 100%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국내)석화기업들은 파트너십 구축이나 현지화를 통한 위기 회피 등 공급망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친환경 사업 분야와 관련된 설비가 많이 없는 상황"이라며 "중국이 시장 입지를 아직 확보하지 못한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에 나설 것"이라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