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이분법 세계

image

 

명리학에는 음양이 있고 불교에서는 분별심을 경계한다. 이분법적 사고로서 진제와 속제라고도 표현되는데 절대적이며 궁극적 진리와 실재를 의미하는 진제眞諦와 우리가 살아가는 세속의 모습인 속제俗諦가 그것이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진제와 속제는 서로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속에 나뉘기도 하고 나뉜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성(聖)과 속(俗)이 다르지 않고 불성을 상징하는 연꽃도 흐리고 탁한 진흙 속에서 핀다. 그런데 전혀 통합될 수 없는 이분법처럼 전 세계를 통하여 딱 2가지로 구별되는 제도가 떠올랐다.

 

자동차의 우측통행과 좌측통행 운전이다. 보자면 영국과 호주 일본 등 세계 국가 중 약 30%는 좌측 운전을 의무화하고 나머지 70%의 국가는 우측 운전을 의무화한단다. 그 유래가 궁금해져 찾아봤더니 좌측 운전을 하는 나라들은 자동차의 핸들이 오른쪽에 있는데 이는 과거 마차를 운행하는 마부의 위치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했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국가들은 대부분 좌측 운전이나 영국으로부터 독립운동을 벌여 성립된 국가인 미국은 건국 초기에 영국에 대한 반감이 심하여 영국의 문화를 따라가지 않으려 했단다.

 

1908년 포드 자동차의 인기 모델 T의 왼쪽에 핸들을 놓았다. 미국 자동차의 아버지라 불리는 헨리 포드에게 오른쪽 운행으로 미국의 교통을 표준화한 공을 돌리기도 한다는데 유럽은 대부분의 나라가 미국처럼 우측통행이다. 이유인즉 프랑스 혁명 정부는 모든 사람이 오른쪽으로 운전해야 한다고 지시했는데 길의 왼쪽은 영국처럼 마차와 말을 탄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었고 마차는 부유한 계층의 전유물이었다. 보행자 즉 가난한 사람들은 오른쪽 보행이었고 따라서 속물적인 계층 차이를 없애기 위한 지시이자 정책이었다. 부자와 빈자에 대한 이분법이 길의 통행에도 있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