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국내 마지막 '보잉747점보' 역사속으로…지구 2500바퀴 날았다

'점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국내 유일의 '보잉 747-400' 여객기가 25년간의 비행을 마치고 퇴역했다.

 

26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항공 여행의 대중화를 이끌었던 보잉 747 여객기(HL7428)가 지난 25일 국내 마지막 비행을 마치고 은퇴했다.이 항공기는 지난 25일 대만 타이베이공항을 이륙해 오후 4시35분 인천공항에 도착하는 일정으로 마지막 임무를 수행했다.여객기의 마지막을 기념하기 위해 타이베이공항과 인천공항에서는 항공기 도착에 맞춰 소방차량 2대가 물대포를 항공기 위로 쏘아올리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이번에 비행을 마친 이 항공기는 국내에 남아있는 마지막 보잉 747-400 여객기다.지난 1999년 6월20일 도입돼 현재까지 비행시간 9만6986시간에 1만8139차례를 운항했다. 그동안 운행했던 비행거리만 해도 지구 2500바퀴 수준인 8800만km에 달한다.특히 아시아나항공에서 대통령 전용기인 '코드원' 운항 임무를 가장 많이 수행한 항공기로 꼽히기도 한다.항덕(항공기 덕후)들의 인기와 관심이 높은 여객기종인 만큼 이날 보잉 747-400 항공기의 마지막 비행을 함께 하기 위한 이들로 빠른 예약이 이뤄지며 일찌감치 만석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항공은 마지막 비행을 기념해 유료좌석 할인 및 인스타그램댓글 달기 경품 이벤트 등을 성황리에 진행했다. 아울러 마지막 운항일 인천-타이베이행 OZ711편 탑승객 모두에게 B747 ID카드 기념품을 제공했다.오래된 구형 항공기를 퇴역시키고 신형 기종 도입을 늘리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은 향후 에어버스 A350 계열 기재를 늘린다는 방침이다.현재 아시아나항공은 중·장거리 노선에 투입되는 A350-900 기종을 15대 운용하고 있다. 특히 이 기종은 아시아나항공이 국내 항공사 중 최초로 도입해 현재까지 주력 기종으로 사용하고 있다.대한항공 역시 향후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을 염두에 두고 최근 A350 계열 기종을 최초로 도입하기로 했다. 도입 기종은 각각 A350-1000 27대, A350-900 6대다. 금액으로는 137억 달러(약 18조1800억원) 규모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한 시대의 아이콘이었던 점보 항공기의 마지막 비행을 보니 감회가 새롭다"라며 "다음 세대를 대표하는 A350, A321NEO 등 최신 기종을 지속적으로 도입해 고객 편의 강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 B747 여객기가 25일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에 도착해 마지막 운항 기념 물대포 환영(Water Salute)을 받고 있다. 사진/아시아나항공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