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빌라 전세가율 70~80%대로 재상승…또 커지는 '깡통전세' 우려

전세사기에 대한 공포로 내림세였던 빌라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다시금 오르고 있다.28일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시장 사이렌을 보면 2022년 9월 82%였던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꾸준히 내려 지난해 12월 68.5%까지 내려갔다가 올 1월 70.4%, 2월 71.0%를 기록했다. 최근 3개월 동안 동일 단지의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한 수치다.

 

통상 전세가율이 80%가 넘으면 집주인이 집을 처분해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할 수가 있어 '깡통전세'로 본다. 빌라 전세가율의 상승은 보증금 미반환 사고의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서울 안에서 전세가율이 80%를 넘기는 곳은 서대문구(84.5%) 한 곳이었다. 전월 74.2%에서 10%포인트 넘게 올랐다. 빌라촌 밀집 지역인 화곡동을 중심으로 전세사기가 많았던 강서구(79.1%)는 80%에 육박했다. 전월 77.1%에서 소폭 오른 수치다.

 

이밖에도 강동구(78.7%→77.6%), 송파구(76.0%→77.3%), 은평구(70.9%→75.9%), 관악구(71.4%→71.4%), 구로구(68.9%→70.6%),양천구(72.2%→70.5%)에서 전세가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경기도에서는 용인 수지구(82.3%→81.6%), 부천 소사구(89.7%→81.4%) 등에서 전세가율이 높았다. 인천에서는 미추홀구가 전월 89.3%에서 95.4%로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약 1년 전 미추홀구에서부터 대규모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진 바 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주택 밀집지역. 사진/뉴시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