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스탠다드에너지, '규제샌드박스 승인'···초급속 충전 서비스 나서

바나듐이온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를 연계한 도심형 초고속 전기차 충전소 / 스탠다드에너지

스탠다드에너지가 산업통상자원부의 규제샌드박스 승인을 받아 LPG 충전소에서 바나듐이온배터리(VIB) 에너지저장시설(ESS)를 활용한 전기차 초급속 충전 서비스에 나선다. 국내 LPG충전소에 ESS를 설치하는 첫 사례다.

 

1일 스탠다드에너지에 따르면 지난 3월29일 개최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융합 규제특례 심의위원회에서 "LPG 충전소 내 바나듐이온배터리 활용 초고속 전기차 충전소 실증" 건에 대한 실증특례를 승인받았다. 설치 대상 LPG충전소는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E1 의왕오렌지충전소다.

 

앞서 지난 2022년 5월 스탠다드에너지와 E1 양사는 LPG충전소에 VIB ESS 기반의 초급속 전기차 충전사업을 추진하기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이번 사업을 통해 E1에 VIB ESS를 공급하고, E1은 LPG 충전소에서 20분 이내에 전기차 완충이 가능한 ESS 연계형 전기차 초급속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참고사진] LPG 충전소 내 초급속 전기차 충전시설 모식도 / 스탠다드에너지

현행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액화석유가스법)에 따르면 LPG 충전소 내 ESS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시설의 구축이 불가능했다.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한 LPG충전소에서 기존 ESS의 경우 발화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VIB ESS는 이를 극복한 최초의 사례라는 설명이다.

 

또한 VIB ESS를 활용해 부족한 전력공급을 해결하는 등 초급속 충전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다. 영업용 전기 차량은 수익성을 위해서 완속 충전을 할 수 없어 짧은 시간에 초급속 충전을 해야한다. 15분만에 완충을 위한 300kW(킬로와트) 출력의 초급속 충전을 해야하는 경우 약 1000가구가 동시에 쓸 전기량이 필요하게 되므로, VIB ESS를 활용하면 전력망 증설 없이도 초급속 충전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번 규제샌드박스는 급속충전기 설치 예정인 장소 중 가장 안전에 민감한 LPG 충전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향후 ESS 설치와 관련된 안전성 논란을 잠재울 것으로 보인다.

 

스탠다드에너지 김부기 대표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려면 충전 불편을 해소해야 하고, 여기에 최적의 솔루션이 VIB ESS"라며 "전기차 충전을 위한 ESS 시장에서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주도해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