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새롭게 지정된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기술의 잠재력과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펼쳐진다. 국내외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연구자들과 시장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가 갖는 과학적, 의학적 가능성뿐 아니라 미래 가치와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소통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사)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는 오는 4월26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서 컨퍼런스홀에서 'CARM 국가첨단전략기술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포럼'을 연다. 충청북도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이득주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장의 개회사와 윤건수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의 축사로 포문을 연다.
첫 세션은 전 세계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의 연구 현황을 알아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이 세션에는 전 세계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전문가들이 대거 강연자로 참석해 눈길을 끈다.
우선 로버트 콥스(Robert Coppes) 네덜란드 흐로닝언(Groningen) 대학 의료 센터 교수가 참석한다. 로버트 교수 연구팀은 침샘 조직으로부터 침샘 오가노이드를 제작, 방사선으로 인한 침생 기능 저하 마우스에 이식해 침 분비량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이 침샘 오가노이드는 현재 인체 임상이 진행 중이다.
류이치 오카모토 도쿄 의과치과대학(TMDU) 교수 역시 두번째 강연자로 나선다. 류이치 교수 연구팀은 장 오가노이드 치료제를 개발, 지난해 난치성 질환인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게 세계 최초로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수술은 성공적이었고 환자는 다음 날 퇴원했다. 오카모토 교수는 이 자리에서 세계 첫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임상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어 유종만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대표가 국내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현황과 전망을 공유한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지난해 국내 처음으로 장 재생치료제의 인체 임상 연구를 시작했다. 국내에서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기술을 가진 기업은 오가노이드사이언스가 유일하다.
마지막으로는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센터장이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장 오가노이드 원천 및 활용 기술 개발'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손 센터장은 지난 2018년 장 오가노이드를 실제 성인의 장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키워내는 '성숙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오가노이드 전문가다. 생명연이 만들어낸 장 오가노이드는 전 세계에서 성인의 실제 장기와 가장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어지는 두번째 세션은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시장과 전망'을 주제로 이루어진다. 재생치료제 기술의 미래 가치를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나누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첫 강연은 정형구 미리어드생명과학 이사가 '재생치료제 동향 및 오가노이드의 역할'의 주제로 맡는다. 미리어드생명과학은 제약·바이오 특화 전략자문사로 바이오 전문 액셀러레이터를 출범 유망 혁신기술을 중심으로 스타트업을 기획, 발굴하고 있다.
이어 임승원 전 한국IR협의회 상근부회장이 '바이오벤처 기업의 기업공개(IPO) 전략'에 대해 강연한다. 임 전 부회장은 한국거래소 재직 당시 수백 개 바이오 기업의 IPO를 담당했던 전문가다.
마지막 강연은 최미혜 한국거래소 차장이 맡는다. 그는 '찾아가는 기술특례 상장 설명'을 주제로 기술특례 상장에 필요한 조건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가 기술이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되며 다양한 정부 지원과 함께 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미 있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 이득주 회장은 "오가노이드 기술은 향후 바이오 분야 뿐만 아니라 타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하며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포럼이 오가노이드 분야 최신 연구 동향과 미래 비전에 대해 공유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2016년 출범한 CARM은 한국 재생의료 산업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첨단재생의료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마련,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기업·유관 섹터 간 교류 확대를 통한 지속 가능한 산업생태계 구축 등 혁신적인 신의료기술을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며 첨단재생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