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개인화 알고리즘도 없건만…" 틱톡·바이트댄스, 미국 시장서 퇴출 위기

현지시간 20일 미국 하원서 360일 내 지분 매각 강제 법안 통과
백도어 통한 개인 정보 수집 및 중국 정부 원조 의혹
전 CEO 케빈 메이어 "독립적 기업…어떤 혐의도 없다" 주장
중국 정부 "인종차별 조치…자국외 기업에 매각 금지할 것"

틱톡과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미국 하원에서 360일 내 틱톡 지분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시장에서 퇴출 되는 법안이 통과됐다. 미국 정부는 틱톡과 바이트댄스를 미국 안보에 지대한 위협을 끼치는 '스파이벌룬'으로 지목하고 정보를 판매하는 브로커로 규정했다. /게티이미지

틱톡을 향한 미국의 공습이 날로 거세지고 있다. 틱톡 내 설치된 백도어(Back Door·비인가 시스템 접근을 하는 악성코드)가 미국 시민의 개인 정보를 불법 탈취하고 이를 중국 정부에 전달함으로써 '스파이풍선(Spyballoon)'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다. 틱톡과 중국 정부 측은 이를 대(對)중국 견제이자 우량 기업 탈취 시도라고 반발하고 있다.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ByteDance)가 21일(현지시간) 미국에 낸 성명을 통해 "미 하원이 중요한 대외·인도적 지원을 명분으로 미국인 1억7000만명의 표현의 자유를 짓밟는 법안을 다시 강행한 것은 유감스럽다"며 "법안 서명 단계에서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미국 하원이 지난달 통과시킨 틱톡 금지법 일부를 수정한 데 따른 조치다. 수정된 부분은 바이트댄스가 틱톡 지분 매각 기한을 90일 연장한 영역이다. 기존 법안은 270일 내 매각을 강제했다.

 

외신은 법안의 상원 통과를 유력하게 보고 있다. 미국 하원은 바이트댄스의 앱 소유권 지분 매각 법안을 앞서 통과 시킨 우크라이나-이스라엘 지원 패키지 법안과 연결시켰다. 패키지 법안은 중국의 미국 내 계좌를 통한 이란 원유 구입을 막음으로써 간접적인 이란 지원을 막는 내용을 포함한다. 틱톡 소유권의 강제 매각은 바이트댄스는 미국 내 안보 기밀을 개인의 휴대전화를 통해 수집, 백도어를 통해 중국에 전송한다는 혐의로 안보 위험을 들어 함께 처리됐다. 틱톡과 비이트댄스는 미국의 적국에 정보를 판매하는 정보상(Data Brokers)로 규정됐다. 하원 통과 직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상원 통과시 즉각 서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틱톡 금지에 따른 파장은 커지고 있다. 중국 정부 측은 즉각 미국 기업인 왓츠앱 등의 퇴출에 승인했으며 "틱톡을 중국 외 기업에 팔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의 보호주의가 자국(미국)의 중요한 정신을 오히려 침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내 IT 관계자들도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바이트댄스는 대규모 로비활동과 함께 미국 내 앱 퇴출을 막기 위해 이용자 정보 접근을 통한 개인화 한 피드 제공 등 일반적인 빅테크 플랫폼 기업이 활용한 기술까지 제외하고 주요 기밀 알고리즘을 제외한 코드를 공개했다. 블룸버그와의 인터뷰를 진행한 IT 관계자는 "팬데믹 기간 중 유튜브와 메타는 틱톡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인 숏폼을 그대로 복제해 숏츠와 릴스를 만들어냈다"며 "이번 사태는 인종차별적"이라고 지적했다.

 

틱톡의 전 CEO인 케빈 메이어(Kevin A. Mayer)는 "틱톡은 어디까지나 독립적인 회사"라며 "내가 아는 한, 중국 정부는 물론 타국가 정부와도 관계가 없다. 이번 사태는 옳은 일이 아니며 미디어와 수정헌법 1조(자유) 또한 위반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의회 내에서도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로 칸나 민주당 하원의원은 ABC뉴스를 통해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이번에 통과한 법안이 전혀 지켜주지 못하고 있으며 법원은 틱톡이 법률적 대응에 나섰을 때 정부를 지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상원 정보위원장 마크 워너 민주당 의원은 "많은 젊은이가 뉴스를 보기 위해 틱톡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틱톡이 새로운 선전도구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중국 공산당이 미국인 1억7천만명의 개인 정보를 긁어올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는 것은 국가 안보에 위험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내 IT 업계 관계자들은 당장 한국에 미치는 문제는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IT 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에서 틱톡을 금지하는 것은 한국과는 전혀 별개의 일"이라면서 "틱톡의 법정 싸움이 시작 되면 기한은 길어질 수밖에 없고 결국 패소한다고 해도 매각에는 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