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왓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매일유업 '소화가 잘되는 우유' 누적판매량 지구 2바퀴…락토프리 시장 선도

소화가 잘되는 우유 전제품 라인업/매일유업

최근 다양한 우유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에 유당을 제거한 락토프리(Lactose-free, 유당분해) 우유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평소에 우유를 마셨을 때 배에 가스가 차거나 불편한 증상을 반복적으로 느낀다면 이는 우유의 일부 성분이 몸에 맞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특히 유당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이는 체내에 유당분해효소인 '락타아제(Lactase)'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우유를 섭취하면 체내의 락타아제에 의해 유당이 분해되는데, 락타아제가 분비되지 않거나 성장하면서 분비량이 줄어든 경우 유당을 소화·흡수하지 못해 배 아픔, 복명, 방귀 등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일반우유를 마셨을 때 유당에 의한 불편함을 느낀다면 유당을 확실히 제거한 락토프리 우유를 추천한다.

 

◆락토프리 우유 제조공법

 

우유의 유당을 제거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 제조공법이 있다. ▲첫번째, 원유에 유당분해효소를 첨가해 인위적으로 유당을 분해하는 방법 ▲두번째, 미세한 필터로 유당만 분리해서 제거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방식이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나, 이 경우 유당 분해 후 포도당과 갈락토오스가 잔존해 우유 본연의 고소한 맛은 낮아지고 단맛이 느껴진다. 반면 두번째 방법은 막 여과기술을 사용하여 필터를 통해 유당을 분리해 걸러내는 방식이다. 이를 UF(Ultra Filteration)공법이라 하는데, 유당만 걸러내기 때문에 달지 않고 우유 본연의 고소한 맛과 영양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국내에서 출시되는 락토프리 우유 중 UF공법을 적용한 제품은 매일유업의 '소화가 잘되는 우유'다. 매일유업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체적으로 유당 제거 기술인 UF공법을 개발해 특허도 받았다.

 

◆매일유업, 락토프리 우유 유효성 검증

 

매일유업은 지난 2015년 경희대학교 의료원 소화기내과 장영운 교수팀과 우유를 마시면 불편함을 느끼는 한국인 성인들을 모집해 '소화가 잘되는 우유' 제품으로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락토프리 우유가 일반 우유에 비해 섭취 후 배아픔·복명, 방귀와 같은 불편감 완화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락토프리 우유의 유효성을 최초로 관찰한 연구로, 이를 주제로 논문 발표 및 대한소화기학회지에 소개되기도 했다.

 

◆누적판매량 지구 2바퀴

 

매일유업의 '소화가 잘되는 우유'는 아이부터 청소년, 2030 성인, 중장년층 및 시니어 부모님까지 누구나 취향에 맞춰 선택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제품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다. 930mL 용량의 냉장 백색우유인 ▲'소화가 잘되는 우유 오리지널'과 건강과 몸매 관리 등을 위해 저지방 혹은 단백질 강화 식품을 선호하는 이들을 위한 ▲저지방 2% 및 ▲단백질도 있다. 또한 소용량을 선호하는 이들을 위해 상온 보관이 가능한 190mL 멸균 제품으로 ▲오리지널, 저지방2% 외 초콜릿, 바나나, 미숫가루맛도 있어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소화가 잘되는 우유'는 지난 2005년에 런칭한 이후 올해 누적판매량 8억개를 돌파했다. 이를 190ml 멸균제품(높이 105mm) 크기로 환산하면 지구 2바퀴 둘레에 달한다. 한국에 락토프리 유제품 인식이 생소했던 시기에 첫 선을 보인 이래로 국내 락토프리 시장 대중화를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 시장점유율 1등을 선점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