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합치고, 없애고, 붙이고…SK ‘시너지 효과 도모

2023년 기준 자회사 716개…5년 만에 3배 늘어
올해 들어 연결 자회사 18개 줄여
공격적인 인수합병 투자 부작용에
매출 부실 자회사 속출
5년간 103조 재원 마련 목표 위한 포트폴리오 재조정 불가피

최태원 회장이 지난 2일(현지시간) 뉴저지에 위치한 SK바이오팜의 미국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본사를 찾아 바이오 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SK

 

SK그룹이 사업 전반의 재조정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는 지난 2018년부터 공격적으로 진행한 투자 인수합병으로 지난해 기준 700여 개가 넘는 자회사를 보유하게 됐다. 그러나 시장의 변화 속에서 자회사 부실로 인한 재무건전성에 빨간 불이 켜지고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사업 투자를 위한 재조정 필요성이 커졌다.

 

16일 <메트로경제> 경제 취재에 따르면 SK그룹이 올해 계열사 정리 작업에 돌입하면서 지난해 대비 연결 자회사 수가 18개가 감소한 698개를 기록했다. 매각된 자회사 수는 17개, 흡수합병되며 몸집을 줄인 자회사는 11개, 청산된 자회사는 1개이며, 신규 설립된 자회사 수는 11개다.

 

SK의 포트폴리오 재편은 시장 유동성 축소와 함께 주요 핵심 사업 시장 급변으로 분석된다. SK는 지주사 SK를 중심으로 SK이노베이션, SK스퀘어, SKC, SK디스커버리 4개 중간 지주사와 중간 지주사격인 SK네트웍스로 이뤄진 구조다. SK는 2015년 SK㈜ 출범 후 사업 영역을 ▲첨단소재 ▲바이오 ▲그린 ▲디지털 4개 분야로 크게 나누고 2018년부터 각 분야에서 제각기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며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벌였다. 2018년 260개였던 자회사는 2019년 288개로 10% 늘어나는 것을 시작으로 2020년 325개, 2021년 454개, 2022년 572개, 2023년 716개까지 늘었다. 5년 간 매년 전년 대비 25%씩 자회사가 늘어난 셈이다.

 

문제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발맞춘 투자와 인수합병이 낳은 부작용이다. 새롭게 개척한 신시장의 성격상 상황이 예측불가능하게 급변하면서 일부 자회사의 부실로 이어졌고 모회사의 자본 창출력을 넘는 자본 투입이 필요한 상황에 이어졌다. 이에 SK는 이번 하반기 이사회 중 대대적인 사업 재조정의 구체적 내용을 확정하고 계열사 간 인수합병 및 지분매각과 신규 투자 계획까지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가장 대표적으로 꼽힌 자회사 부실 문제가 바로 SK온 문제다. 오는 17일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임시 이사회를 열고 각 이사회에서 합병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인수합병은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목적이다. 두 이사회 결과에 따라 SK㈜도 이사회를 열고 합병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다. SK㈜는 SK E&S의 지분 90%를 갖고 있으며 SK이노베이션 지분은 36.22% 보유 중이다. 이들 기업은 SK이노베이션 아래 SK E&S를 두는 수직 통합이 아닌 수평 통합 방식의 사내독립기업(CIC) 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전해진다.

 

SK는 이번 사업 재조정을 통해 재무 건전성을 확보하고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주요 사업에 재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SK는 지난달 경영전략회의를 열고 향후 5년간 총 103조 원의 재원을 투자하기로 하고 이 중 80%에 달하는 82조 원을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관련 사업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현재 SK그룹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현재 지난 1분기 유동비율은 100.56%에 달해 안정성 판단 기준치 100%에 간신히 머무는 수준이다. 16일 현재까지 다른 주요 계열사들의 임시 이사회 개최 일정 등은 결정되지 않은 상태지만 늦어도 하반기까지 사업 재조정을 위한 임시 이사회가 계속 열릴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계속 될 SK의 사업 포트폴리오 재조정이 향후 5년 간 청사진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재원 마련과 급변하는 미래 시장 대응을 위해서라도 내부 고민이 클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