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상반기 車보험 손해율 80% 육박…장마철 손보사 '먹구름'

빅4 손보사, 6월 누적 車보험 손해율 79.5%
7~8월 장마철 집중호우...침수 피해 多
업계 "손해율 상승 필연...보험료 인상 가능성"

연일 이어진 집중호우로 물이 불어나 서울 서초구 잠수교가 전면통제된 가운데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올림픽대로에서 관계자들이 침수피해 방지를 위한 작업을 하고 있다./뉴시스

상반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8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7~8월 장마철 집중호우로 침수차량 피해가 커질 경우 자동차보험의 손해율 상승이 불가피해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까지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 대형 4개 보험사의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은 평균 79.5%로 집계됐다. 1년 전(77.2%)과 비교해 2.3%포인트(p) 올랐다.

 

7개 보험사로 확대하면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0.1%로 전년 동기(77.7%) 대비 2.4%p 상승했다.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가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진다.

 

보험사별로 보면 현대해상 80.7%, 한화손해보험 81.8%, 롯데손해보험 82.1% 등은 손해율 80%를 넘어섰다. DB손해보험이 78.7%로 가장 낮았고 이어 메리츠화재 78.8%, 삼성화재 79.2%, KB손해보험 79.4% 순이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코로나가 점점 줄어들면서 차량 이동량 자체가 늘어나 손해율이 증가했다"며 "작년 대비 올해 상반기 손해율은 매월 1~3%씩 높았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올해 7~8월 장마철 집중호우가 이어지면 손해율은 더욱 상승할 수 있다는 것.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6일부터 23일까지 자동차보험을 판매하는 12개 손해보험사에 접수된 침수피해 차량은 3549대로 집계됐다. 추정 손해액은 319억7400만원이다. 지난해 6~8월 집중호우 및 태풍 '카눈' 등으로 인한 침수 피해 2395대, 175억원을 올해는 3주만에 벌써 크게 웃돌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올해의 경우 작년 대비 침수 피해가 더 많이 발생했다"며 "이번 7월부터 하반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우상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하반기 손해율이 상승하면 향후 자동차보험료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앞서 손보사들은 2022년부터 3년 연속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해 왔다. 2022년 1.2~1.4%, 2023년 2~2.1% 인하했다. 올해 2월에는 금융당국의 요구에 따라 '상생금융' 명목으로 2.5~3% 가량 인하폭을 대폭 키웠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7~8월 침수·태풍 이후 9~10월 행락객 증가로 장거리 차량 이동량이 늘어나고 겨울에는 폭설·빙판 등 계절적 요인이 발생한다"며 "지난 3년간 자동차 보험료도 낮춰왔기 때문에 손해율 상승은 필연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손해율이 적정 손해 범위를 벗어난다면 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료를 인상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