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펫 위한 브랜드부터 헬스케어까지…"1500만 펫팸족 잡아라"

농식품부, 반려동물 관련 지출 월평균 13만원
2027년 펫 관련 시장 6조 원대로 성장
신일·쿠쿠전자, 일찌감치 펫브랜드 선보여
삼성전자 '펫 케어 스토어' 신설
'펫케어'가전·AI 기반 '펫테크'도 증가세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1500만 명에 육박하면서, 반려동물 시장이 ICT 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고 투자를 아끼지 않는 '팻팸(Pet+Family)족'이 늘어나면서 기업들도 펫케어 기능을 갖춘 제품부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펫테크 서비스까지 다양하게 출시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반려동물에 사용하는 평균 비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 규모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전년도 대비 47만 가구 늘어난 638만 가구로, 인구수로 환산해 보면 약 1500만 명 수준에 달한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이들이 반려동물을 기르는 데 월평균 13만원을 소요한다고 발표했다. 1년간 평균적으로 152만 원을 사용하는 셈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발표를 살펴보면 국내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매년 평균 14.5%의 성장률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규모는 2021년 3조 4000억 원에서 올해 4조 5786억 원, 2027년에는 6조 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정부도 지난해 펫헬스케어, 펫테크 등의 스타트업 육성 계획을 담은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대책'을 내놓았다. 반려동물 연관 산업을 지원해 글로벌 시장 진출은 물론 국내 시장 규모를 15조 원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밝혔다.

 

신일전자의 펫 가전 브랜드인 '퍼비'의 '스파 욕조&드라이어'와 '돌봄이 로봇 페디'. /신일전자

반려동물 시장 성장 가능성을 일찍이 내다보고 펫브랜드나 스토어를 선보인 기업도 있다.

 

신일전자는 2017년 펫 가전브랜드인 '퍼비'를 론칭해 '스탠딩형 드라이어'를 시작으로 다양한 제품을 출시했다. 반려동물의 목욕·마사지·드라이가 모두 가능한 '스파 앤 드라이', 반려동물이 혼자 있을 때 영상통화를 하거나 사료를 챙겨주는 펫시터 '돌봄이 로봇 페디'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다.

 

쿠쿠전자도 2019년 펫브랜드 '넬로'를 론칭해 '펫 에어샤워 앤 드라이룸'을 출시했다. 목욕 후 젖은 반려동물의 털을 30분 안에 말릴 수 있으며, 산책 후 붙은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을 털어내는 에어샤워 기능도 탑재됐다. 이후 반려동물에게 원하는 시간대에 물·사료를 각각 자동 공급하는 '펫 스마트 급수기','펫 스마트 급식기'와 반려동물용 바리깡 '펫 클리퍼' 등을 내놓으며 꾸준히 시장 규모를 확대 중이다.

 

삼성전자 모델이 '펫 케어 스토어'에서 구입할 수 있는 삼성 펫 케어 가전을 소개하는 모습. /삼성전자

삼성전자도 이러한 추세에 맞춰 지난해 삼성닷컴에 쇼핑 플랫폼 '펫 케어 스토어'를 신설하고, 기존 제품에 '펫 케어'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무선 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에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연동해 집에 혼자 남은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고, 반려동물이 이상 행동을 보이면 소비자에게 알림을 보내기도 한다. 이외에도 펫 전용 필터를 탑재한 비스포크 큐브 Air(공기청정기), 반려동물로 인한 오염·털 냄새를 제거해 주는 비스포크 그랑데 AI(세탁기·건조기) 등이 있다.

 

SK텔레콤의 반려동물 진단 보조 설루션 '엑스칼리버'를 알리는 디지털 캠페인 영상 갈무리. /SK텔레콤

반려동물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돕는 '펫테크' 제품도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다.

 

SK텔레콤은 2022년 9월 AI 기반 반려동물 진단 보조 설루션인 '엑스칼리버'를 출시했다. 반려동물의 엑스레이 사진을 전용 클라우드에 올리면 약 30초 만에 비정상 소견 여부와 위치정보 등 분석 결과를 수의사에게 제공한다. 호주와 인도에 이어 최근 세계 최대 반려동물 시장인 북미 지역 반려동물 의료장비업체들과도 계약을 맺고 출시를 앞두고 있다.

 

반려동물 라이프케어 브랜드 '페스룸'은 고양이 전용 화장실인 '루푸 자동 화장실'을 지난 4월 출시했다. 고양이의 습성을 반영한 오픈된 화장실로, 자동 청소와 AI 원격 제어할 수 있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 애플리케이션(앱)을 연동하면 체중, 배변 횟수 등 누적된 데이터를 통해 수의사가 분석한 고양이 건강 상태 리포트를 매달 확인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