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국민은행, 자회사 KB뱅크 인니에서 매년 적자...약 2632억원 규모

KB국민은행의 인도네시아 자회사인 KB뱅크(옛 부코핀은행)가 대규모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이는 KB금융그룹 실적으로 연결돼 지주사의 주주환원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31일 인도네시아 현지 KB뱅크 재무제표에 따르면 당사는 올해 들어 5월까지 3조923억 루피아의 순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전일 환율 기준으로 약 2632억원에 이르는 규모다. 앞서 KB뱅크의 연간 적자 규모는 ▲2020년 434억원 ▲2021년 2725억원 ▲2022년 8021억원에 이어 지난해 2613억원을 기록했다. 올해는 1분기 688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현지 기준은 연결 기준과 회계정책에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며 "현지 실적보다 연결 기준 실적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지 기준 3개월 연속 충당금 전입 전 영업이익(PPOP) 흑자와 일부 부실채권의 건전성 개선으로 충당금 환입이 발생해 손실이 감소하는 추세"라고 부연했다. 국민은행은 내년까지 KB뱅크를 흑자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최근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강남채 국민은행 글로벌사업그룹 부행장은 "KB뱅크의 부실자산을 상당부분 많이 털어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강 부행장은 "2022년 기준 기존에 갖고 있던 부실자산이 35조 IDR(루피아, 약 3조원)이었는데 이번 상반기 11조 IDR까지 떨어져 있는 상황"이라며 "연체율 부분들도 현지 기준에서 5% 이하로 안정되게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 상반기 시중은행 순이익에서 글로벌 사업 비중은 신한 19.5%(4007억원), 하나 16.8%(2938억원) 규모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1분기 순이익의 약 9%를 글로벌 수익으로 거뒀다. 반면 국민은행은 KB뱅크의 영향으로 1분기 해외법인 순손익에서 490억원 적자를 봤다.

 

상반기 시중은행 순이익 규모는 ▲신한은행 2조535억원(전년 동기대비 22.2% 증가) ▲하나은행 1조7509억원(4.8% 감소) ▲우리은행 1조6735억원(13.7% 증가) ▲국민은행 1조5059억원(19.0% 감소) 규모로 집계됐다. 그룹 전체 순이익에서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국민 54.1%, 신한 74.7%, 하나 84.6%, 우리 95.3% 수준으로 올라간다. 상반기 금융그룹 순이익은 ▲KB금융 2조7815억원(7.5% 감소) ▲신한금융 2조7470억원(4.6% 증가) ▲하나금융 2조687억(2.4% 증가) ▲우리금융 1조7554억원(14% 증가) 규모다.

 

인도네시아 부코핀은행. 사진/뉴시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