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멀티플레이어된 통신3사, 반려견·소상공인 서비스부터 드라마 제작까지

서울 한 휴대폰 판매매장의 이통3사 로고의 모습./뉴시스
지난 1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글로벌 반려동물 포럼 'FASAVA Congress 2024'에서 (왼쪽부터)장동일 SKT 엑스칼리버 글로벌팀장과 리우 창 할(Dr. Liu Chang Hair) 마이벳케어 사업총괄이 계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SKT

이동통신3사가 본업인 통신사업에서 벗어나 디지털 헬스케어는 물론 엔터테이먼트 사업까지 뛰어들며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본업인 통신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탈통신' 전략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중심의 반려견 진단 서비스는 물론 매장 관리 솔루션과 드라마 제작까지 뛰어들며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SK텔레콤은 AI 반려견 진단 보조 서비스를 통해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반려견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엑스레이 기반의 반려동물 헬스케어 AI 서비스 '엑스칼리버'를 출시했다. 엑스칼리버는 반려동물의 엑스레이 사진을 분석해 15초 이내에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 병원에서 촬영한 반려견의 엑스레이 사진을 엑스칼리버 전용 클라우드에 올리면 질환의 위치와 비정상 소견 등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이에 SK텔레콤은 지난 30일 동남아시아의 주요 국가인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에 인공지능(AI) 기반 반려동물 진단 보조 솔루션 '엑스칼리버(X-Caliber)' 공급한다고 밝혔다. 올해 호주를 시작으로 북미에 진출한 데 이어 동남아시아에서까지 엑스칼리버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사업 저변을 넓히게 됐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동남아 반려동물시장은 지난해 33억달러(약 4조5500억원) 수준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15%에 이른다"며 "엑스칼리버를 통해 통신 분야와 연계하는 신규 해외 사업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의 콘텐츠 전문 스튜디오 STUDIO X+U가 미스터리 스릴러 드라마 '노 웨이 아웃: 더 룰렛'을 공개하고 원천 IP 발굴 및 IP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지난 31일 밝혔다. 사진은 노 웨이 아웃 포스터./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로봇을 활용한 드라마 제작 사업에 뛰어들었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한국형 로봇 콘텐츠 제작을 위해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SAMG 엔터), 하이지음스튜디오가 협력 관계를 맺었다고 밝혔다. 3사는 조만간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로봇 드라마 제작에 돌입할 계획이다. 회사는 콘텐츠 전문 스튜디오 'STUDIO X+U'를 활용해 IP(지식재산권) 공동기획 및 제작에도 참여한다. 나아가 투자와 배급 등 전체 프로젝트를 이끄는 매니지먼트 역할도 담당한다.

 

이밖에도 LG유플러스는 디지털 매장 관리 서비스 사업도 확대한다. 회사는 최근 소상공인 매장 디지털화를 돕는 'U+ 우리가게패키지 AX(AI전환) 설루션' 공급을 연내 3만개 업장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월 ▲U+AI전화 ▲U+AI예약 ▲U+웨이팅 ▲U+키오스크 ▲U+오더 ▲U+포스 등 총 6가지로 구성된 'U+우리가게패키지 AX솔루션'을 새롭게 출시했다.

 

KT는 B2B(기업 간 거래) 사업을 통해 라이브를 걸고 있다. 최근 신사업 전략 가운데 하나로 추진한던 헬스케어 사업이 무산됨에 따라 당분간 B2B사업에만 집중하려는 모양새다.

 

이에 KT는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B2B 분야에서 AI·클라우드·IT 분야의 사업 확장을 노리고 있다. 양사는 ▲AI·클라우드 연구개발 공동 프로젝트 ▲한국형 AI·클라우드·IT 서비스 개발 ▲AI·클라우드 이노베이션 센터 구축 ▲AI·클라우드 인재 양성 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KT는 "오는 9월 MS와 AI·클라우드 분야 협력을 상세화하기 위해 현재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또한 협력 성과를 한층 높이기 위해 소버린 AI·클라우드를 도입한 해외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