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제자리걸음' 코스닥, 돌파구는?

미국의 나스닥을 벤치마킹해 만들어졌던 코스닥 시장이 갈수록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금융 당국이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코스닥의 몸집은 커졌으나 코스닥 지수는 십수 년째 제자리걸음만 반복하고 있다.

 

올해도 코스닥 시장은 정부가 중점 과제로 추진한 '밸류업 프로그램'과 AI 반도체를 중심으로 상승했던 글로벌 증시 호황에서 소외되면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증시 중 상대적 약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연초 대비 1.39% 떨어진 데 비해 코스닥 지수는 11%가량 하락했다. 또한 지수 하락에 코스닥의 거래대금도 5조~6조 원대를 기록하는 등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거래대금이 10조원을 넘어섰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정도 줄어든 셈이다.

 

코스닥 시장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은 많다. 그중에서도 과도하게 많은 기업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지난 2022년 국내 상장사들의 상장 유지 규정이 완화된 데다 상장폐지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수년째 퇴출당해야 마땅한 '좀비기업'들이 그냥 방치되고 있다. 이러다 보니 사기꾼들의 '작전 사냥'에 개인 투자자들만 손해를 보고 있는 중이다.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상장 유지 조건을 엄격하게 강화하고, 상장폐지 절차를 간소화해 부실기업을 제때 퇴출해 시장의 건전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투자자들에게 필요한 기업 분석정보를 확대하는 등 정부와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최근 한국거래소가 좀비기업의 퇴출 문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개선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데다 밸류업 프로그램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정책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히는 등 코스닥 시장의 분위기 반전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단기간에 이 같은 문제가 해소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정부의 산업 규제 완화, 중소기업 지원 정책 등 여러 가지 제도적 지원이 따라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와 금융당국은 코스닥 상장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루빨리 코스닥 시장의 투명한 투자 환경 마련에 힘을 쏟아야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