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음성비서 '제미나이 라이브' 유료 구독서비스
"애플, 스마트폰 AI에 월 2만원대 받을 수도”
삼성 당분간 무료제공 2026년 유료 검토
돈을 주고 인공지능(AI)를 사용하는 시대가 개막하고 있다. 최근 구글이 공식 출시한 인공지능 비서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하면서 삼성전자와 애플도 AI 수익화를 꾀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AI 유료화는 오픈AI의 챗GPT를 중심으로 이뤄졌지만 AI 사업 모델이 안정궤도에 진입하자 후발주자인 'AI 스마트폰' 시장도 수익화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구글 27000원 유료 구독서비스 출시
19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 14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본사에서 '메이드 바이 구글 2024'를 개최하고 자사 스마트폰 '픽셀9 시리즈'와 이에 탑재될 AI 음성 비서 '제미나이 라이브'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구글은 '제미나이 라이브'를 한 달에 19.99달러(약 2만7000원)인 유료 구독서비스로 제공한다고 밝히며 수익모델 구축에 나섰다. 회사는 "향상된 음성 엔진을적용해 일관되고 표현력이 풍부하며 현실적으로 사용자와 대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AI 수익화는 초기 단계로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AI 무료 제공을 통해 시장 주도권을 장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구글은 시장 선점과 함께 수익성까지 얻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디맨드세이지 등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챗GPT의 월간 이용자 수는 약 1억8050만명에 달한다. 올 한해에만 오픈AI가 챗GPT를 통해 얻는 수익은 약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로 예상되고 있다
◆AI 스마트폰 유료화 검토…애플, "올 가을 도입 가능성"
이처럼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연이은 유료화 선포는 'AI 스마트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장은 최근 AI 스마트폰을 잇따라 공개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애플도 일부 고급 AI에 유료화를 검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먼저 오는 가을 출시될 아이폰 16시리즈엔 애플의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가 탑재될 예정이다. 여기에 최대 월 20달러, 우리 돈으로 약 2만 7000원을 받을 것이란 외신 보도가 나왔다.
지난 8일 미국 CNBC는 시장 분석가들을 인용해 "애플이 곧 출시할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최대 월 20달러(약 2만7000원)에 제공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애플이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16과 iOS 18을 통해 공개되는 '애플 인텔리전스'의 프리미엄 기능에 구독료를 부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애플의 첫 AI 서비스 시스템이다. 글쓰기 및 요약과 같은 언어 도구 지원, AI가 원하는 그림을 만들어주는 이미지 프렐이그라운드, 생성형 AI가 결합된 차세대 음성비서 '시리' 등이 도입될 예정이다.
◆삼성, 2026년 유료화 전망
애플보다 빠르게 AI 폰을 출시한 삼성전자도 내후년 시장 상황을 보고 유료화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이미 AI 기능의 유료화를 시사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자사의 갤럭시 AI 기능과 관련해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 "갤럭시 AI는 기능이 지원되는 삼성전자 갤럭시 기기에서 2025년 말까지 무료 제공된다"고 밝혔다.
다만 삼성은 당장 유료화보다는 AI 스마트폰 보급과 주도권 선점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식을 통 기존 출시된 갤럭시 스마트폰에도 AI 기능을 탑재해주기로 했다.
MX(모바일)사업부 노태문 사장은 지난달 파리 공개 행사에서 "최신 AI 기능 업데이트를 유료화할지는 시장 상황과 소비자의 요구 등을 감안해 2026년 결정할 것"이라며 "일단 내년까지는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6년부터는 갤럭시 AI 기능에 구독료를 부과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밖에도 자체 생성형 AI 모델 '라마'를 공개한 메타도 유료화를 고민하고 있다. 메타는 AI 생태계를 넓히기 위해 학계는 물론 상업적 이용에까지 라마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지만 수익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지난 4월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라마 접근 권한을 유료화할 수 있으며, AI를 통한 광고 및 유료 콘텐츠와 AI 비즈니스 메시지 등을 도입할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업계가 유료화에 서는 것은 수익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것으론 보인다. AI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금이 필요한 만큼, 서비스 일부 비용을 이용자들에게 전가함으로써 부담을 덜 겠다는 전략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닐 샤 파트너는 "AI 투자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애플은 그 비용을 사용자에게 전가하고 싶을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