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귀에 쓴 말

image

 

귀에는 거슬리더라도 약이 되는 말들을 수용해 내는 것 그것이야말로 나를 위하는 보약임을 알지만 실천은 보통 마음가짐으로는 쉽지가 않다. 역사적으로 춘추전국을 제패한 한고조 유방의 고사(古事)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진(秦)나라를 치려고 항우와 경쟁해 온 유방은 진나라의 서울인 함양에 항우보다 먼저 입성했다. 진시황의 왕궁으로 들어간 유방은 화려한 대궐과 수많은 명마(名馬) 산더미처럼 쌓인 금은보화, 아름다운 궁녀들에게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이를 알아챈 장군 번쾌는 유방에게 고한다. "아직 천하가 통일된 것도 아니며 이제부터가 중요하니 속히 이곳을 떠나 적당한 자리에 진을 치시옵소서. 유방은 그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자 또 한 명의 훌륭한 지략가인 장량은 유방에게 "진(秦)이 무도한 학정을 했기에 천하의 원한을 사서 왕께서 이렇게 왕궁에 들어올 수 있었던 것이며 이제 왕께서는 진을 멸하여 천하의 인심을 편안케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통을 받아온 백성들을 위하여 상복을 입고 조위(弔慰)함이 옳으신데 진의 보물과 미녀에 눈이 쏠려 포악한 진왕의 일을 따르신다면 이는 아니 될 일입니다" 하며 "본래 충언은 귀에 거슬리나 행동하는 데는 좋은 것이며 좋은 약은 입에는 쓰나 병을 고치는 데는 이롭습니다. 부디 번쾌의 충언을 따르시옵소서. "(忠言逆耳利於行 良藥若口利於病)라고 한 그 유명한 한자성어가 탄생했다.

 

이는 사기의 유휴세가(史記 留侯世家)에 나오는 대목이다. 깨달은 유방은 진시황의 왕궁을 떠나 패상(覇上)에 진을 쳤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루게 된다. 보통 사람도 부모님의 잔소리는 그저 간섭으로만 느껴지고 듣기가 싫다. 그저 잔소리다. 충고가 잦아지면 잔소리와 동의어가 되긴 하지만 잔소리를 이겨내면 끝은 창대할 성싶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