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넷플릭스 할인받고 통신비 유지할까?" 통신사, OTT 결합 상품 '와르르'

OTT 결합 요급제 출시
알뜰폰 이탈 가입자 확보 전략

서울 강남의 한 휴대폰 판매점의 이통3사 로고의 모습./뉴시스
LG유플러스가 유튜브 프리미엄과 넷플릭스 2종을 월 1만원대로 제공하는 '더블 스트리밍 연간권'을 출시했다./LGU+

이통3사(SKT·KT·LGU+)들이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할인 상품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최근 가입자들이 저렴한 알뜰폰(MVNO)으로 이동하는 등 이통사업이 정체기에 접어들자 OTT 혜택을 포함한 요금제를 내세워 고객 확보에 나선 것이다. 올초부터 OTT 요금인상이 이어지자 이용자 부담을 낮춰 고객을 잡아두겠다는 전략이다.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6월 기준 알뜰폰 가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20만 6588명(약 16%) 증가한 929만 6636명을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같은 기간 14.4%에서 16.5%로 2.1%p 늘었다. 지금과 같은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알뜰폰 가입자가 1000만명에 달할 전망이다. 반면, 이통 3사 가입자 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이통 3사의 가입자 수는 4692만8134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00만4477명 줄었다.

 

이에 따라 이통3사는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OTT 결합 요금제를 선보이고 있다.

 

SKT 지난 6월부터 구독 플랫폼 'T우주'에 넷플릭스·웨이브를 한꺼번에 구독해 월 구독료를 최대 10% 할인받을 수 있는 '우주패스 넷플릭스'를 출시했다. 또 자사 5G 요금제에 따라 최대 1만3500원의 추가 할인을 제공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연계 상품을 통해 좀 더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며 "OTT 소비자는 여러 OTT를 함께 구독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KT는 최근 OTT 구독 요금제 '요고 시즌2'를 출시했다. 이 요금제는 월 3만원대에서 6만원대까지 총 13개의 선택지를 제공한다. 또한 월 5만 5000원까지의 11종 요금제는 티빙의 광고형 스탠다드를 추가 비용 없이 제공해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더 높은 요금제를 이용하면 OTT의 선택의 폭도 넓어진다. 월 6만1000원을 가입하면 티빙 '베이직'·'디즈니플러스 스탠더드'·'유튜브 프리미엄' 등의 서비스 중에 한가지를 선택해 시청할 수 있다. 월 6만9000원 요금제를 사용할 시 이 중 2가지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다. 다만, 유튜브 프리미엄을 택할 시 5000원 추가 비용이 발생된다.

 

LG유플러스는 유튜브 프리미엄과 넷플릭스 2종을 월 1만원대로 제공하는 '더블 스트리밍 연간권'을 출시했다. 유튜브 프리미엄(월 1만4900원)과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월 5500원)를 결합해 1년 약정으로 구독하면 둘을 따로 구독했을 때보다 4500원 저렴한 월 기준 1만5900원에 제공한다.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해지할 경우엔 할인받은 금액을 돌려줘야 한다. '유독'의 구독 상품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지만 LG유플러스 멤버십 VIP 이상 등급 고객에게는 4000원 할인을 더 추가해 월 1만1900원에 이용할 수 있도록 추가 혜택이 있다.

 

LG유플러스 안병경 구독사업담당은 "콘텐츠를 즐기는 고객들의 비용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가장 인기가 많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결합해 할인을 제공하는 구독 상품을 새롭게 선보였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유독을 통해 차별화된 구독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