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KB국민카드, 4개월새 신규회원 50만 돌파...향후 과제는?

빠르게 들어오는 만큼 빠르게 나간다…충성고객 확보 필요해
좁히지 못하고 있는 '0.9%'…신규회원 모집 위한 '강력한 한방'은?

KB국민카드가 신규 회원 모집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KB국민카드

KB국민카드가 4개월새 신규 회원수가 50만명을 넘었다. 매월 10만명 이상의 신규회원을 유치하면서 영업 속도를 높이고 있다. 카드업계가 플랫폼과 데이터 사업에 집중하면서 신규 회원 확보가 중요해졌다.

 

3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최근 4개월간 KB국민카드의 신규 회원수는 50만8000명에 달한다. 신규 회원 유입 속도가 전업 카드사 8곳(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카드) 가운데 가장 가파르다. 지난 9월말 기준 총회원 수는 1234만2000명으로 업계 4위다.

 

비대면 영업채널을 강화하면서 신규 회원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카드모집인이 감소하는 추세인 만큼 홈페이지와 플랫폼 중심 영업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대표상품인 위시(WE:SH)카드는 마이위시와 아워위시, 위시올 등 다양화 전략을 채택했다. 소비자의 선택지를 넓혀 성공한 셈이다.

 

지난해 출시한 '쿠팡와우카드'도 효자 역할을 제대로 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쿠팡 상업자표시 신용카드(PLCC)로 쿠팡과 쿠팡이츠, 쿠팡플레이 결제액의 최대 4%를 적립한다. 지난달 출시 1년 만에 100만장 발급에 성공하면서 베스트셀러 대열에 합류했다.

 

이처럼 KB국민카드가 신규회원 유치에 적극적인 이유는 신사업 발판 확보다. 올해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는 신년사를 통해 본업 내실 성장과 데이터 기업으로의 변화를 강조했다. 자사 플랫폼인 'KB페이'를 중심으로 할인, 캐시백 등 소비자 혜택을 강화하고 있다.

 

데이터 사업의 경우 회원 수가 중요하다. 카드사가 판매하는 데이터의 대부분이 소비 행태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면서다. 신용카드사 소비데이터는 성별, 연령, 지역 등 면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의뢰자가 요구하는 통계와 데이터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현재 금융데이터거래소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8385건 중 소비관련 데이터는 81.1%(6803건)를 차지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이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는 예·적금, 대출 등 금융상품 선호도에 그치는 실정이다"라며 "카드사는 소비데이터를 취급하는 만큼 자영업자나 유통업계뿐 아니라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KB국민카드의 차기 과제는 충성고객 확보다. 신규 회원 모집이 활발한 한편 해지 회원 수도 많아서다. 최근 4개월간 KB국민카드의 해지회원수는 38만4000명이다. 지난 9월말 기준 회원 수 업계 3위인 현대카드와의 격차는 11만2000명이다.

 

근소한 차이를 좁히기 위해 '강력한 한방'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애플페이'가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수 있단 관측이다. 지난 8월 KB국민카드의 IT협력업체는 구인사이트에 'KB국민카드 애플페이 구축-탠덤 경력자'를 모집하는 글을 올렸다가 삭제했다. 지난해 현대카드는 애플페이 서비스를 출시한 3월에만 신규 회원 20만명을 모집했다.

 

KB국민카드는 애플페이 도입을 두고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여전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의 예적금이나 신용카드는 한 명의 금융소비자가 여러 상품을 이용하는 만큼 신규 회원 모집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