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정책

“직장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 임금·복지와 유연한 근무 환경”

고용부, '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 결과 발표

고용센터를 찾은 구직자가 스마트폰으로 찍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뉴시스

청년들이 기업을 선택할 때는 규모보다 임금, 복지, 워라밸이 더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들은 희망 임금을 300만원 이상으로 설정했고, 필수복지제도로는 특별휴가와 유연근무 등이 언급됐다.

 

5일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전국 17개 시·도 청년(19~34세) 4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대다수(87.0%)가 '임금·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관계없다'고 응답했다. 또한, 63%는 임금과 복지보다 워라밸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으며, 59.1%는 직장선택 시 임금을 고용형태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 임금수준은 '300만∼350만원'(25.9%)이 가장 많았으며, 76.3%는 '300만원 이상'을 원했다. 적정 근무 시간은 '40~45시간 미만'(50%)이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35~40시간'(16.0%)과 '30~35시간 미만'(10.8%)이 순위를 차지했다.

 

직장선택 시 선호 사항./고용노동부

필수적 복지제도에 대한 질문에서 '안식년, 장기근속 휴가 등 특별휴가'(38.5%), '유연근무'(35.4%), '재택근무'(31.1%)가 병원비·경조사비·대출지원 등 금전적 지원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무를 원하며, 직무 전환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절반 가까이 나타났다. 직무 수행에서 '적성 및 흥미'(67.7%)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교육 수준'(54.5%)이나 '기술 수준'(59.4%) 보다 높은 수치다. 직무 전환 고려 여부 질문에는 48.4%가 '직무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직무 전문성 향상을 위해 회사는 사내직무교육을 가장 많이 제공하지만, 청년들은 자격증 취득 지원을 가장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부는 MZ세대라고 불리는 청년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며, 유연근무나 재택근무와 같이 시간과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설문조사는 청년들의 요구에 맞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취업 전에는 취업진로상담, 일 경험 등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직무를 충분히 탐색하도록 하고, 취업 후에는 청년들이 다양한 근로시간과 근무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고 경력개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재학 단계부터 학생들이 수시·경력직 채용에 맞춰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 경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라며 "근로자와 기업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논의를 통해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