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9>호주 펜폴즈
"정치가 가능성의 예술이라면 야타나가 꼭 그렇다."
프로이센의 재상이었던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정치를 가리켜 했던 말을 펜폴즈의 수석 와인메이커 피터 가고는 화이트 와인 야타나에 빗댔다. 좋은 품질의 포도라면 가능한 모든 곳에서 조달해 와인을 양조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였다.
일반인이라면 고개를 갸우뚱 거린다. 어디서든 좋은 포도를 구해다 쓰겠다니. 너무나도 당연한 말 같아서다.
근데 와인업계에서는 예전이든 지금이든 굉장히 의아하게 여길 일이다. 보통 좋은 와인이라면 특정 지역, 더 나아가 특정 포도밭의 포도로만 와인을 양조한다. 토양과 기후 등 포도나무를 둘러싼 테루아를 중시여기는 탓이다.
펜폴즈의 생각은 좀 달랐다. 포도가 어디서 자랐든 오직 맛으로만 평가한다. 호주 와인 역사를 바꾼 그랜지도, 야타나도 그렇게 탄생했다.
호주 국가 대표 와이너리 펜폴즈라고 하면 그랜지를 먼저 떠올리겠지만 오늘은 야타나를 앞 줄에 세웠다. 최고로 꼽을 만한 레드 와인보다는 최고로 꼽을 만한 화이트 와인을 만나는게 몇 배는 더 어려워서다.
야타나야말로 태생부터 가능성에 기댔고, 가능성을 만들어냈다.
펜폴즈는 프리미엄 레드 와인인 그랜지의 성공 이후 프리미엄 화이트 와인 프로젝트에 돌입했지만 쉽지가 않았다. 최고의 화이트 와인을 양조할 만한 포도를 선별하는 과정이 너무나 힘들었다. 호주 최남단 서늘한 기후에서 천천히 익어 천연 산미와 다양한 향을 지닌 포도를 찾아내면서 가능해졌다. 와인 이름 '야타나(YATTARNA)'는 호주 원주민어로 '점차적으로'라는 뜻이다. 그만큼 길고 긴 과정을 거쳤다. 펜폴즈 와인은 대부분 다른 이름도 가지고 있다. '빈(BIN)+숫자' 방식이다. 야타나를 가리키는 다른 품목명은 BIN 144다. 숫자가 보통 저장고 위치나 품종 등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정해지는 것과 달리 야타나는 144번의 연구 끝에 완성했다는 점에서 BIN 144가 됐다.
야타나 2019 빈티지는 타즈마니아와 아델레이드힐즈 등에서 자란 샤도네이로 만들었다. 감귤류에 시나몬, 캐모마일까지 다양한 향이 코를 사로잡더니 입 안에서는 신선한 과실과 둥근 산미에 미네랄이 조화를 잘 이룬다.
그랜지 역시 여러 지역, 다양한 포도밭의 포도로 만든다.
10명으로 구성된 와인메이커 그룹은 2주 동안 포도밭의 작은 구획을 말하는 파셀 약 1000곳에서 포도를 수확해 등급을 나눠 분류한다. A등급을 받은 포도만 그랜지에 쓰이는데 비율로 보면 약 3% 안팎일 정도로 '베스트 오브 더 베스트'만 선별된다고 보면 된다. 그랜지에 쓰일 파셀로 선정되면 그만큼의 보상이 따라온다고 하니 재배자들도 열과 성을 다할 수밖에 없다.
그랜지는 스타일에 맞춰 매년 최고의 포도를 골라 만들다보니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일관된 품질을 보이는 와인 중 하나로 꼽힌다. 첫 빈티지 이후 70년 동안 25개 이상의 빈티지가 평론가나 외부에서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다.
조슈아임 펜폴즈 브랜드 앰버서더는 "그랜지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향과 함께 숙성 잠재력이 40~50년 이상인 와인"이라며 "실제 그랜지 1983 빈티지를 마실 기회가 있었는데 여전히 신선하게 생동감이 있다고 느꼈다"고 전했다.
최고의 레드 와인과 최고의 화이트 와인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펜폴즈의 도전은 계속되고 있다. 호주 내에서 지역의 경계를 뛰어넘더니 이번엔 국경을 뛰어넘었다.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만들어낸 펜폴즈 샴페인과 함께 미국 나파밸리 카버네 소비뇽에 호주 쉬라즈를 블랜딩한 상식을 뛰어넘는 와인도 선보일 예정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