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계] 희망을 주는 동지(冬至)

희망을 주는 동지(冬至)

모든 절기가 다 의미가 있지만, 동지는 각별히 새로운 기대와 희망을 느끼게 한다. 절기상 겨울에 속하는 여섯 절기 중에 네 번째이며, 그다음 절기인 소한과 대한이 지나면 입춘이 들면서 또 다시 새해가 시작된다. 실은 항성인 태양의 행성으로서 우리 지구라는 별이 해의 주위를 도는 신 여정의 출발점이 되는 날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리라. 동지는 이렇게 지구의 입장에서는 양(陽)의 기운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이어서 예로부터 붉은 팥죽을 쑤어 각각 집안의 어두운 기운을 물리치고 액운을 막고자 하였다. 이것이 동지 풍습이 되고 전통이 된 것이다. 절기 때마다 그 철에 나는 곡식이나 과일을 함께 즐기는 것은 역시 민속풍속이지만, 여타 절기 풍습이 잊히고 사라져 가고 있다. 그러나 동지만큼은 아직도 대부분 가정이나 사찰에서도 꿋꿋이 지켜져 오고 있다. 그만큼 동지의 의미가 깊다는 방증이다. 기실 동지를 경계선으로 하여 낮이 점점 길어지기 시작하니 우리나라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나 서양에서는 한 해가 끝나고 새해가 시작되는 기점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동지는 작은 설, 아세(亞歲)라고도 불렸으며 실질적인 의미로 태양이 또 다시 새롭게 그 여정을 시작하는 날로 본 것이다. 이런 이유로 태양력이 생기기 훨씬 오래전부터도 동지는 새로 뜨는 해를 맞이하는 희망의 날이다. 늘 그래왔듯 이번 동지 때도 넉넉히 팥죽을 쑤어 필자가 주석하고 있는 월광사 신도분들은 물론 여러 지인과 함께 나눌 것이다. 올해 동지는 하순 초입에 드니 노동지(老冬至)가 된다. 대부분 암자나 사찰에서도 동지기도는 필수다. 작은 설인 동지 때 안녕과 무탈함을 발원하는 동지기도를 올리며, 다가올 새해에 대해 기원을 함께 담으니 동지는 희망이 아닐 수 없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