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한파에 통신사만 봄날…안정빵 통신업 쥐고 AI로 돈도 번다

통신3사 3분기 합산 영업익 1조원 넘겨
AI 중심 조직 개편 단행 "신사업 수익화 실현"
52주 신고가 경신

SK텔레콤은 첨단 AI 기술로 산업 현장의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해주는 'AI 산업안전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지난 9월 26일 밝혔다. 사진은 SK텔레콤 구성원들이 AI CCTV 화면을 분석하며 AI 산업안전 패키지를 테스트하고 있는 모습.

최근 계엄령 쇼크 등 대내외 악재가 이어지며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통신업만 실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3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긴 통신사들은 신사업 수익화를 내년 경영 목표로 삼고 인공지능(AI) 중심 조직개편에 돌입했다. AI 전문가를 주요 직무에 배치하고 AI데이터센터(DC)사업 관련 조직을 신설하며 주력 사업으로 발굴한다는 목표다. 이에 따라 경기 방어 성격을 띄고 있는 통신사가 AI 수익화에도 본격 돌입하자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통신업종으로 자금이쏠리고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가 인공지능(AI) 사업 강화에 중점을 둔 2025년 조직개편을 마무리했다. 이는 AI 수익화를 뒷받침하는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부분에서 지난 2분기와 3분기 연속 실적 호조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입증했기 때문이다.

 

지난 3분기 이통 3사는 올 3분기 합산 영업이익 1조2434억원을 기록했다. 3개 분기 연속 1조원을 넘기며 실적에 날개를 단 것. 이에 통신사들은 기업소비자간거래(B2C) 사업과 함께 AI데이터센터(DC)사업 관련 조직을 신설하며 AI 수익화를 빠르게 실현하겠다는 전략이다.

 

SKT는 지난 5일 통신과 AI 사업을 두 축으로 사업부를 재편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SK텔레콤은 7대 사업부로 재편해 두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7대 사업부의 업무 비중을 대부분이 AI 역량 강화에 집중된다. 또 AIDC와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맡을 'AI DC사업부'를 별도 조직으로 신설했다. 기존에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협력하는 'T-B 엔터프라이즈 사업부' 산하에 있던 AI DC사업부를 별도로 떼어낸 것이다.

 

이를 통해 SKT는 통신 사업 전반에 AI를 접목해 신사업과 통신업 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회사는 최근 밸류업 공시를 통해 2030년까지 총매출 중 AI 매출 비중을 35%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KT는 'AI+ICT(AICT) 컴퍼니'로 사업구조를 전환하는 데 중점을 둔 조직개펴을 단행했다. KT는 B2B 사업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하기 위해 AI 분야 융합사업을 담당하던 기존 '전략·신사업부문'을 '엔터프라이즈 부문'과 통폐합했다. 기존 전략·신사업부문이 담당하던 AI사업, DX(디지털전환)사업, 로봇사업을 엔터프라이즈부문의 B2B사업과 연계해 한 부문에서 총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으로 AIDC 사업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KT는 지난 9월 체결한 MS와 AI 및 클라우드 분야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4억5000만 달러(약 5896억원) 상당의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KT와 KT클라우드는 MS에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서비스를 공급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1일 LG그룹 경영전략부문장인 홍범식 사장을 CEO로 선임하며 4년 만에 수장을 교체했다.

 

LG유플러스의 이번 조직개편은 'AI 전환(AX) 컴퍼니'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기조다. 이에 20여 년 동안 통신사업 영업을 담당하며 그룹 안팎에서 '영업 전문가'로 알려진 기존 황현식 대표에서 미디어, 테크놀로지 등 정보기술(IT) 분야에 정통했다는 평가를 받는 홍 대표로 사령탑을 교체했다.

 

이날 처음 출근한 홍 사장은 LG유플러스 구성원들에게 '기본기'를 바탕으로 한 도약 필요성을 강조하며 "경쟁을 바라보면 2등은 할 수 있지만, 고객을 바라보면 1등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은 인사를 전했다.

 

다만, 통신사들은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AI 서비스 출시를 본격화하는 한편, 투입 비용은 최소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최근 대내외 악재로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도 통신업종에는 자금이 쏠리고 있다. 최근 트럼프 관세 리스크와 계엄령 쇼크 등으로 주요 수출주 등 대형주들이 하락세를 이어아고 있지만, 통신업은 경기 방어 성격이 강한 데다 신사업 수익화도 가시화하고 있기 때문.

 

실제 최근 통신주는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통신 3사의 주가는 올해 초부터 지금까지 평균 24.1% 뛰어 올랐다. 김준섭 KB증권 연구원은 "통신사의 AI 인프라 사업이 향후 주가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통신사가 운영하는 AI 인프라 사업 매출은 내년에도 약 18%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