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빅테크, AI 데이터센터 경쟁 속 이면...MS, 460억 달러로 선두

자금력 차이로 AI 데이터센터 기술 격차 확대 우려
"국가 차원 AI 인프라 구축 필수
글로벌 협력 통해 격차 줄여야"

GPT로 생성한 '인공지능(AI) 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이 격화되면서 빅테크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 신설 및 증설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인공지능(AI) 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이 격화되면서 빅테크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 신설 및 증설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한 곳을 세우는 데 수조원의 비용이 소요되면서 이러한 경쟁이 자금력이 충분한 대기업들의 전유물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6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는 2025 회계연도가 끝나는 올해 6월까지 데이터센터 건설에 800억 달러(약 117조76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MS, 구글, 메타, 아마존 등 빅테크 4개사의 총 자본 지출인 2090억 달러(약 308조원)의 약 38%에 달하는 규모다.

 

브래드 스미스 MS 부회장은 3일(현지시간) MS 공식 블로그를 통해 "MS는 2025 회계연도에 AI 모델을 훈련하고 전 세계에 AI·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앱)을 배포하기 위해 AI 데이터센터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며 "투자 금액의 절반 이상이 미국 내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MS의 이러한 움직임은 AI 기술 선점을 위한 전략으로, 생성형 AI 모델의 훈련 및 활용에 필요한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MS는 전 세계적으로 30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9년 오픈AI에 대한 투자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자체 AI 개발까지 AI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image
미국 빅테크(거대기술)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에 사활을 걸고 있다. 사진은 프랑스 파리 외곽 이시레물리노의 MS 프랑스 본사 건물에 MS 로고가 보이고 있는 모습. /뉴시스

 

MS는 이미 AI 데이터센터 투자에 선두를 달리고 있다. 다국적 정보분석업체 비주얼캐피탈리스트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MS는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AI 데이터센터에 460억 달러(약 67조원)를 투자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금을 AI 데이터센터에 투자했다.

 

같은 기간 구글은 330억 달러(약 48조1536억원)를, 메타는 270억 달러(약 39조4000억원), 아마존은 19억 달러(약 27조7200억원)를 AI 데이터센터 운영과 인프라 구축에 투자했다. 아마존은 현재 215개의 데이터센터를 보유해 규모나 용량 면에서는 MS의 뒤를 잇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국가 간 기술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막대한 자본과 기술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국가들은 AI 경쟁에서 점차 뒤처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AI 모델의 훈련 비용이 급증하면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AI 기술을 독점할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다. 실제로 구글과 아마존은 AI 모델을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추론)보다 훈련에 훨씬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이는 AI 모델 학습 비용이 데이터셋 구축, 전력 소비, 고성능 GPU 등 필수 인프라로 인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기술 격차를 해소하고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는 2024년 AI 연구개발(R&D) 예산을 전년 대비 20% 증액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AI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 업계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의 AI 인프라 구축은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며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해외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기술력 격차를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