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LG유플러스, 디지털 전환으로 고객센터 상담 시간 1300만분 단축

LG유플러스가 지난해 고객가치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DX)을 통해 고객센터 상담 시간을 1년 새 1300만 분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LG유플러스 CX센터 임직원이 CX통합포털에서 고객 상담 관련 수치를 확인하는 모습.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지난해 디지털 전환(DX)을 통해 고객센터 상담 시간을 1년 만에 1300만분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불편 요소(페인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발굴·개선하고, 고객센터 전화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사전 안내와 직접 소통 시스템을 강화한 결과다.

 

8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지난해 모바일 및 홈 상품 이용 고객의 고객센터 전화 건수는 약 1800만건으로, 전년 대비 약 170만건 감소했다. 고객 1인당 평균 상담 시간도 약 21초 줄어들었으며, 이를 통해 총 상담 시간이 1364만분 단축됐다.

 

LG유플러스는 2017년 고객가치 혁신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페인 포인트 발굴·개선 체계를 지속 고도화해 왔다. 2019년에는 전사 통합 고객 상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으며, 2023년에는 상담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요약하는 기능을 도입해 분석 역량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고객 불편 사항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3월 LG유플러스는 '셀프 재약정' 기능을 도입해 선택약정 할인제도 재약정이 필요한 고객에게 사전 안내를 강화했다. 또 신규 고객이 가족 결합 혜택에 대해 자주 문의한다는 점을 반영해 문자와 알림톡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자체 앱으로 안내했다. 이를 통해 관련 문의가 1년 새 약 100만건 감소했다.

 

홈매니저(설치 기사)의 방문 일정 안내 알림톡에 채팅 상담 기능을 추가해 고객이 직접 홈매니저와 소통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전 설치 페이지도 개편해 고객센터 연결 없이 서비스 접수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개선으로 고객센터는 더 복잡한 문제를 겪는 고객에게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일반 문의 전화는 전년 대비 9.5% 감소했고, 불만 접수 전화도 11.2% 줄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9월 한국표준협회 주관 디지털고객경험지수 이동통신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콜센터품질지수에서도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박수 LG유플러스 CX혁신담당(상무)은 "올해는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높여 고객 상담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계획"이라며 "AI 기반 CX통합포털 '익시젠(ixi-Gen)'을 본격 가동해 고객 경험 여정을 세분화하고 숨겨진 니즈를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