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계] 세운(歲運)과 신수(身數)

세운(歲運)과 신수(身數)

우리 선조들은 보통은 음력 12월인 섣달이 오면 다가올 새해의 운수를 살펴보곤 했다. 양반들이나 사는 여유가 좀 있는 사람들은 보통은 주역점이나 사주명리학에 의거하여 살피기도 했지만 일반 서민들은 신점에 의지하는게 일반적이었다.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옛날에는 하늘에서 천둥이나 번개만 쳐도 하늘의 신이 노한 것으로 생각했다. 가뭄이 들면 나랏님의 덕이 부족해서라고 생각하기도 했던 것이니 민간신앙으로서도 인간사 길흉을 알아보고자 했던 것은 너무나 당연한 집단의식이었다고 보여진다. 조선후기의 학자인 이덕무의 저술을 모두 모아 엮은 전집인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 나오는 내용 중에도 쌀 점을 치는 방식에 대한 기록이 있다고 하는데 개인의 운수를 점치는 방법으로 쌀점을 치는 것은 지금도 우리나라 무속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방법의 하나다. 그러다가 뭔가 걱정되는 일들이 점괘로 나오면 음력 정월 보름 이내에 또는 정월이 다 가기 전에 액막이의 일종인 '홍수막이(홍수맥이)' 등의 작은 액막이 의식을 행하곤 했다. 전통사회에서의 재난은 삼재(三災)라 하여 물 불 바람에 관한 것과 관재구설(官災口舌)과 건강에 관한 것이 대부분인지라 일상생활에서 뜻밖에 겪게 될 가족들의 액운을 막기 위해 어머니나 할머니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아마 이러한 행위들은 과학성을 떠나 마음에 주는 안도감에는 분명 효험이 있다고 생각된다. 불안해하기 보다는 어떤 조치라도 취했다. 각자 타고 난 사주팔자 여덟 글자의 기본에 해가 바뀌면서 기운을 살피는 것이, 그리고 천지자연이 다 에너지 아닌 것이 없으니 감응이 되어 안한 것보다는 분명 마음에 위안이 되는 것이며 잘 아시다시피 안심이 되면 실제로 매사 행동도 안정되지 않던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