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트럼프 취임 앞두고 '美·中'갈등 격화될까...韓게임업계 '노심초사'

미국 공화당 대통령 선거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서 대선 승리 선언을 하고 있다./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국내 게임업계가 노심초사 하는 분위기다. 미-중 갈등 때문이다. 미-중 갈등이 국내 게임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국내 게임사업의 글로벌 진출이 위축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워싱턴D.C에서 공식 취임이 예정된 가운데 강격한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관세를 강하게 규제해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자주 내비치기도 했다.

 

트럼프의 중국 정책이 중국 산업 환경 불안정성을 높인다면 텐센트 등 중국 기업에 대한 압박이 가해져 결국 국내 게임 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게임시장은 중국 시장의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국방부는 지난 6일(현지시간) '중국 군사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이 명단에는 CATL을 포함해 텐센트도 포함됐다. 이 명단에 오른 기업들은 오는 2026년 6월 30일부터 미국 국방부와의 거래가 금지된다. 실제 트럼프 당선인은 1기 시절 모든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 대상에 텐센트를 올리기도 했다.

 

문제는 시프트업, 넷마블, 크래프톤 등의 국내 게임사들이 텐센트와 사업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이다. 텐센트는 시프트업(지분율 34.85%), 넷마블(17.52%), 크래프톤(14.61%)의 2대주주면서 이들 게임의 중국 퍼블리싱을 전담해 왔다.

 

엔씨는 리니지IP를 활용한 리니지2M을 중국에서 연내 출시할 계획으로 퍼블리싱은 텐센트게임즈가 맡았다.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키우기도 중국에 출시될 예정이다. 시프트업도 승리의여신:니케 역시 중국 진출을 앞두고 있다. 자국 내 텐센트의 사업 환경이 어려워지면 국내 게임의 중국 진출에도 악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부분이다.

 

글로벌 환경도 녹록치 않다. 트럼프 당선인은 1기때부터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드러내면서, '게임 이용 장애' 질병코드 등재 사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제 트럼프는 백악관 공식 유튜브를 통해 "비디오 게임이 바로 폭력성을 띈다"며 "총기 난사 사건은 게임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등의 비판한 바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의 이러한 행보가 지속된다면 전 세계 게임을 취급하는 국가들의 시선도 부정적으로 바뀔 수도 있다"며 "실제 게임을 질병코드로 구별해야 할지 법안이 표류 중인 국가가 다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트럼프 당선인 취임으로 콘솔 등 기기 가격 인상도 예상된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는 지난 10월 발간한 보고서에서 노트북-타블렛과 비디오 게임 콘솔 관세가 각각 46%, 40%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가상자산의 규제 완화는 호재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2기 동안 가상자산 기업 자율성을 강화하고 규제를 완화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게임사들이 게임에 가상자산을 접목시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게임 코인을 발행하거나 게임 내 가상자산 생태계가 이뤄진 경우 사용자 확보와 해당 시장을 강화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일 수 있다.. .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미중 갈등이 격화된다면 중국과 밀접한 협력관계인 게임사들은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글로벌 사업을 준비하는 게임사들도 위축 될 것"이라며 "반면 가상자산 관련 한 사업을 확장하는 시장은 기회가 될 수있다. 추이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승리의 여신:니케 대표이미지/시프트업
리니지M 대표이미지/엔씨소프트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