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의 와이 와인]<268>트럼프 시대, 와인의 운명은

<268>美 버지니아 트럼프 와이너리

 

안상미 기자

전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의 하나 뿐인 딸 첼시의 결혼식에 트럼프 와이너리에서 만든 와인이 쓰였다. 미국 45대 대통령을 지내고 47대 대통령으로서의 취임을 앞두고 있는 그 도널드 트럼프의 와이너리다. 맞는 말일까, 틀린 말일까.

 

두 가지 의문이 바로 생긴다. 첫번째는 클린턴이 소중한 딸 결혼식에 왜 하필 트럼프 와인을 썼을까, 두번째는 술 한 잔 안하는 트럼프가 무슨 와이너리냐.

 

문장을 이렇게 바꾸면 첫번째 의혹은 풀린다. 첼시 클린턴의 결혼식에는 트럼프가 사들이기 전인 클루기 와이너리의 와인이 쓰였다. 결혼식은 2010년. 트럼프가 와이너리를 인수한 것은 2011년이니 말이다.

 

트럼프 와이너리 로고. /금양인터내셔날

이번엔 두번째 의문을 풀 차례다. 외모나 언행으로는 말술을 마시게 생겼지만 트럼프는 철저한 금주자로 유명하다. 방한 당시 국빈 만찬을 가졌을 때도 트럼프의 잔에는 와인이 아닌 콜라가 담겨 있었다.

 

와이너리를 와인보다 부동산의 가치로 인식하면 이해가 빠르다.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트럼프 와이너리는 원래 클루기 와이너리였다. 사업을 크게 확장하려던 찰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매년 수십만 달러의 적자를 내기 시작했다. 클루기가 유동성 위기에 몰리자 트럼프는 와이너리를 시장가치의 10%만 주고 사들여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도록 방치한다. 사실 진짜 사고 싶었던 물건은 와이너리 내에 있는 앨버말 저택이었기 때문이다. 폐가같은 주변 환경에 매수하겠다는 이가 나타나지 않자 트럼프는 은행에 저당잡혀 있던 저택을 원래 가격의 15분의 1 수준에 사들이는데 성공했다. 트럼프는 저택은 대대적으로 리모델링해 호텔로 바꾸고, 클루기 와이너리는 트럼프 와이너리로 재탄생했다. 지금은 '대통령 와인'이라는 별칭과 함께 버지니아 최대의 와이너리로 자리잡았다.

 

트럼프 와이너리 블랑 드 블랑, 트럼프 와이너리 샤르도네, 트럼프 와이너리 메리티지, 트럼프 와이너리 카베르네 소비뇽. /금양인터내셔날

우리나라에도 이미 수입 중이다. 금양인터내셔날은 트럼프 와인 가운데 '트럼프 메리티지'와 '트럼프 블랑 드 블랑', '트럼프 샤르도네', '트럼프 카베르네 소비뇽' 등을 선보였으며, 이미 입소문을 타고 재고가 거의 없는 상태다.

 

트럼프 와인은 품절 사태를 빚고 있지만 사실 오는 20일(현지 시각) 트럼프의 취임을 앞두고 와인업계 표정은 어둡다.

 

먼저 관세 이슈다.

 

트럼프는 공약으로 모든 수입품에 최고 20%의 보편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내걸었다. 전 임기에도 관세로 무역 갈등을 부추겼던 트럼프다. 2020년 유럽연합(EU)과 마찰을 빚으면서는 프랑스 와인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도 했다. 수입 와인이 비싸지면 미국 와이너리가 좋아할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오리건주 한 와이너리 관계자는 "당시에도 무리한 관세 부과에 따른 와이너리들의 이익은 없었다"며 "일반적으로 상대국의 보복 관세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미국 와인업계의 수출을 사실상 막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유리병과 오크통 등 수입된 물품에 의존하는 미국 와인 산업의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60%라는 관세를 공언했던 점을 감안하면 중국산 와인병은 가격이 큰 폭으로 뛸 수밖에 없다.

 

이민자를 배척하는 정책도 우려되는 부문 중 하나다. 포도밭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 대부분이 이민자다. 와이너리들이 숙련된 노동력을 확보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대체 인력을 찾기 위해 생산 비용이 오르는 것은 물론 수확도 지연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