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스마트홈, 음악 서비스와 손잡다...新 생태계 구축 '가속화'

스마트홈, AI·loT 결합해 '맞춤형 서비스' 확산
국내외 IT업계, 음악 플랫폼과 협력

GPT로 생성한 '스마트홈 생태계에서 음악 서비스 연동한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융합으로 스마트홈 시장이 급격히 확장하면서 산업계의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와 스마트홈 기기의 연동이 활성화되면서 국내·외 IT기업들이 새로운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6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1216억달러에서 연평균 22.9% 성장해 2032년에는 약 6332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향후 1~2년 안에 전 세계 가정의 절반 이상이 최소 5개 이상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국내 스마트홈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글로벌 빅테크를 제치고 1,2위를 유지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양사는 스마트홈 플랫폼 시장에서 음악 서비스와의 협력을 통해 생태계 확장에 힘쓰고 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홈 플랫폼 '스마트싱스'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를 연동돼 삼성 스마트 TV와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손쉽게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스마트싱스는 AI를 활용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고 최적화된 홈 루틴을 제안한다.

 

LG전자는 AI 홈 허브'씽큐 온'에 플랫폼 플로(FLO)를 연동한다고 16일 발표했다. 위 사진은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 전시된 LG전자 AI홈 존. /LG전자

LG전자는 AI 홈 허브'LG 씽큐 온'에 플랫폼 플로(FLO)를 연동한다고 16일 발표했다. AI가 탑재된 LG 씽큐 온은 다양한 AI홈 허브가 집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로 고객의 말과 행동,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연결된 IoT 기기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며 고객을 케어한다.

 

향후 플로와 협업해 약 8천만 곡의 음원과 AI 추천 기술을 바탕으로 맞춤형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씽큐 온은 네이버의 AI 플랫폼 '클로바'와 연동돼 LG 가전제품을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KT는 AI 스피커 '기가지니'도 카카오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멜론과 연동해 음성 명령을 통해 멜론의 음악을 재생하거나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TV와 연결된 기가지니를 통해 멜론 콘텐츠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통해 카카오 AI 플랫폼과 연동해 차량과 스마트홈 간 연결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음성 명령으로 차량을 제어하거나 음악, 네비게이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중소기업들도 스마트홈 생태계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AI 기반 음악 라이브러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뮤직큐브'는 고객의 감정 상태에 따라 맞춤형 재생목록을 자동 생성해 개인화된 음악 경험을 제공한다. 사물인터넷(IoT) 스타트업 '아이오티크'는 스마트 스피커와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해 가전기기 통합 설루션을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음악과 팟캐스트 서비스와의 연동을 확대 예정이다.

 

이 외에 스타트업 레가토는 스마트홈 표준인 '매터(Matter)'와 호환되는 스피커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해 저렴하면서도 저전력의 와이파이 스피커를 선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홈 생태계 확장을 돕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도 스마트홈과 음악 서비스의 협력은 활발하다. 구글의 '네스트' 스피커는 유튜브 뮤직, 스포티파이 등 다양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다. 아마존의 '에코' 스피커 역시 알렉사를 통해 아마존 뮤직, 애플 뮤직 등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