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애'(人間愛)에 대한 미술의 역사는 깊다. 오래전부터 적지 않은 작가들이 빈곤, 전쟁 등을 겪는 인간의 슬픔과 상실을 그렸으며, 어두운 현실 속에서 하루하루 참아내며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사랑을 표현했다. 잔혹한 전쟁에 반대하며 인간의 존엄과 가치, 평화의 메시지를 전파하려 했던 피카소(Pablo Picasso)의 '게르니카'(1937)가 그렇고,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그들에 대한 연민을 날카로우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새긴 케테 콜비츠(Kathe Kollwitz)의 판화 작업들, 난민들의 아픔을 이해하길 원했던 아이 웨이웨이(Ai weiwei)의 설치 작업들이 그렇다.
이 중 콜비츠의 주요 작품 중 하나인 '죽은 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1903)에는 어머니와 죽은 아이 사이의 고통스러운 순간이 담담하면서도 강렬하게 담겨 있다. 격변기마다 사회 운동에 참여했던 어머니는 전쟁으로 인해 자식과 사별하고, 죽음을 마주한 노인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자신과 이웃에 엄습한 세계를 응시했던 그에게 성모 마리아가 죽은 예수를 끌어안고 있는 형상(Pieta)의 이 에칭(etching) 작업은 그의 '전쟁'(1921~1922) 시리즈 이상으로 인간애를 물씬 풍긴다.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감자 먹는 사람들'(1885) 역시 인간에 대한 애착이 녹아있는 작품에 속한다. 단순하게 보면 한 가난한 가족이 어두운 방안에 모여 식사를 하는 장면이지만 다섯 인물의 태도와 분위기에서 농민의 거친 삶과 더불어 인간의 존엄성과 소박한 아름다움까지 담아내려 했던 고흐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그 마음의 실체는 가족 간 보이지 않는 사랑, 내 것에 앞선 배려와 희생이다.
인간애가 묻어나는 작품은 이 외에도 많다. 뱃사람들의 험난한 인생을 통해 사회적 모순과 절망을 피력한 일리아 레핀(Ilya Repin)의 '볼가 강의 배 끄는 인부들'(1870~1873)을 비롯해 빈민과 노동자들의 삶과 개척 의지에 주목하며 생존을 위한 투쟁의 숭고함을 형상화한 세바스티앙 살가도(Sebastiao Salgado)의 '브라질'(Serra Pelada Gold Mine, Brazil, 1986) 연작, 전쟁의 비인간성을 비판하는 포토몽타주 작품으로 폭력을 미화하는 나치 정권의 허위를 폭로한 존 하트필드(John Heartfield)의 작업 등도 궁극적으론 인간애를 바탕으로 인권과 인간의 존엄은 물론, 사회 구성원의 윤리적 책임을 환기케 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브라질 금광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군상과 아프리카 사헬(Sahel) 지대에서 결사적으로 유랑하는 유목민들의 묵시록적 풍경, 진흙 속에서 일하면서도 형형한 눈빛을 잃지 않은 사람들을 앵글에 담은 살가도의 작업은 인간애를 개인적 영역에서 끄집어내 사회적, 환경적 차원으로 확장한 사례로 꼽힌다.
인간 존재(Dasein)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고, 존재의 진정성은 이타성에 의해 실현된다. 인간은 그 자체로 목적이어야 하며, 삶에 대한 경외는 인간애의 가장 진솔한 형태이다. 그것은 개인의 경험적 범위에서만이 아닌 인문학적 기반 위에서 형성된 세계관과 관련이 있고, 그 내부엔 인간의 정서적인 차원의 활동들이 끊임없이 삶의 사실적인 차원들과 화해를 쌓아가는 과정이 들어 있다.
이런 과정들은 미술에 있어 익명의 이야기를 역사적 장에서 의식화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것은 억압받은 자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행위이며, 사회에 만연한 불평등과 모순을 인식하게 만드는 일이다. 비록 동시대에서 인간애란 한없이 허약하지만, 그럼에도 우린 인간애야말로 증오로 가득한 현실의 문맥을 변경할 수 있다는 믿음을 저버릴 수 없다. 인간의 조건인 인간애가 곧 미술의 조건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홍경한(미술평론가)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