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 새 이슈…미·유럽 '차단'vs인도 '환영'

미국·유럽, '보안 우려'로 딥시크 차단 확산
인도, 딥시크 적극 수용…AI 산업 성장 기회로

28일 중국 수도 베이징의 한 사용자 휴대전화 화면에 딥시크(DeepSee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다. /AP·뉴시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충격파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보안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가 있는가 하면, 기존 선진국 위주로 형성된 인공지능(AI) 기술의 독점 체제를 깰 수 있다는 기대감에 딥시크의 적극적인 수용을 권장하는 국가들도 나오고 있는 것.

 

2일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전 세계 주요 기업과 정부 기관들이 딥시크가 개발한 AI 추론 모델 '딥시크 R1'의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 R1은 6710억개의 매개변수를 학습한 대규모 언어모델(LLM)로, 저비용으로 GPT-4 수준의 성능을 구현해 큰 파장이 일으키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출시한 H800 칩을 활용해 챗GPT-4에 근접한 성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정부 기관과 의회는 딥시크 사용을 전면 금지하며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다. 미 의회는 전화나 컴퓨터 등 의회 내 공용 장치에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고, 직원들에게도 딥시크를 설치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의회는 "위협 인자들이 악의적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장치를 감염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미 딥시크를 악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미 해군과 국방부도 직원들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특히 국방부는 일부 직원들이 딥시크를 사용한 사실을 확인한 후 접속 차단 조치를 단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 차원에서도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네트워크 보안 업체 넷스코프에 따르면, 자사 고객사 중 52%가 이미 딥시크 접속을 완전히 차단했다.

 

사이버보안 기업 아르미스의 나디르 이즈라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자사의 고객사 약 70%가 딥시크 접속 차단을 요구했다"며 "수백개의 기업, 특히 정부와 연관된 기업들이 중국 정부로의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딥시크는 개인정보 보호 약관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내 서버에 수집·저장하며, 이와 관련한 분쟁은 중국 정부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이 밝혀지면서 많은 기업과 정부 기관이 보안상의 이유로 딥시크의 AI 모델 R1과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사용을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유럽에서도 딥시크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이탈리아 데이터보호위원회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으며, 이후 이탈리아 내 구글과 애플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앱이 삭제됐다.

 

아일랜드 데이터보호위원회(DPC)도 딥시크에 아일랜드 사용자 관련 데이터 처리 정보를 제공하라는 서한을 보냈는데, 이 서한에는 유럽연합(EU) 개인정보 보호법(GDPR) 위반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프랑스 개인정보보호위원회(CNIL) 역시 딥시크의 AI 시스템 작동 방식과 데이터 보호 위험에 대한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반면, 인도는 딥시크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미국과 유럽이 강경한 규제 태도를 보이는 것과 달리, 인도는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슈위니 바이슈노 인도 정보통신부 장관은 딥시크 기술을 높이 평가하며, 자국 내 서버에 딥시크 모델을 호스팅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 나아가 인도는 딥시크의 저가형 AI에 자극을 받아 연내 6개의 자체 파운데이션 AI 모델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 지원을 통해 농업,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 정부 관계자는 "인도에서 개발된 파운데이션 AI 모델들이 세계 최상위 모델과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딥시크 R1의 기술적 혁신이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 AI 보안 전문가는 "딥시크 R1이 저비용으로 GPT-4 수준의 성능을 구현한 점은 기술적 도약이라 할 수 있으나, 동시에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라며 "국내에서도 딥시크 관련 보안 위협에 따른 대응책 마련은 물론 기술 발전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