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기고] 몇 초만에 쓴 댓글, 부메랑이 될 수 있다

image
김호진 산타크루즈컴퍼니㈜ 대표

디지털 세상에서는 클릭 한 번, 몇 초 만에 쓴 댓글 하나로 누군가의 인생을 영원히 짓밟을 수 있다.

 

최근 배우 김새론의 사망 원인이 악성 댓글 때문이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다시 한번 우리는 온라인 폭력이 만들어낸 비극을 마주하게 됐다. 문제는 이것이 단순한 한 개인의 불행이 아니라, 이미 수많은 피해자가 같은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디지털 장의사'로서 매일같이 온라인에서 지워지지 않는 상처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그들은 단순한 실수 하나로, 혹은 확인되지 않은 루머 하나로 끔찍한 악플에 시달린다. 하지만 인터넷은 가해자에게는 관대하고 피해자에게는 가혹하다. 악성 댓글을 남긴 사람들은 쉽게 잊고 지나가지만, 그 말들은 끝없이 인터넷 공간을 떠돌며 피해자의 삶을 무너뜨린다.

 

하버드대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는 "언어는 단순한 소통이 아니라, 사람의 정신과 감정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강력한 도구"라고 했다.악성 댓글은 단순한 '말'이 아니라, 한 사람을 파괴할 수 있는 무기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익명성을 방패 삼아 아무런 죄책감 없이 타인을 공격하는 사람들이 넘쳐난다는 것이다.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는 "인간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악플러들은 상대를 한 명의 인간으로 보지 않는다. 그저 조롱하고, 비난하고, 사라지길 바랄 뿐이다. 공인이기 때문에 감당해야 한다는 말도 더 이상 변명이 될 수 없다. 유명세가 악플을 견뎌야 할 의무로 바뀌는 순간,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윤리를 상실한 것이다.

 

악성 댓글은 단순한 '말'이 아니다. 그것은 사람을 죽이는 흉기다. 디지털 세상에서 남긴 흔적은 쉽게 사라지지 않으며, 가해자는 쉽게 잊어도 피해자는 평생을 고통 속에 살아간다. 나는 디지털 장의사로서 각종 디지털 흔적을 지우는 일을 하지만, 진짜 해결책은 처음부터 그런 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제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말에 책임을 져야 한다. 악성 댓글 하나가 누군가의 삶을 송두리째 망가뜨릴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인터넷은 기억력이 좋고, 세상은 생각보다 좁다. 익명 뒤에 숨은 비겁한 공격은 결국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

 

우리가 쉽게 내뱉은 그 말, 언젠가 부메랑이 되어 우리의 삶을 덮칠지도 모른다. 아니, 어쩌면 더 큰 이자가 붙어 가족에게까지 돌아갈 수 있다. 그때 가서, 하늘을 탓하지 마라. 그건 하늘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뿌린 말의 씨앗이 자라 돌아온 것일 뿐이다.

 

말 한마디가 인생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가볍게 여기지 마라. 상처 준 만큼, 언젠가 더 깊은 상처로 되돌아올 것이다. 부디, 그때 가서 "설마 나한테까지 올 줄은 몰랐다"며 어리석은 변명이나 늘어놓지 않기를. /김호진 산타크루즈컴퍼니 대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