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Global Metro

中, 휴머노이드 로봇…'1가구 1로봇 시대'로 성큼

중국의 로봇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 대여 붐이 일어나고 있다고 중국 관영 매체들이 전하고 있다.

 

관영 매체는 중국이 휴머노이드 로봇 대여 붐으로 '1가구 1로봇 시대'를 맞으면서 가까운 미래로 다가왔다고 전하고 있다. 특히 올 들어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생성형 AI 모델 딥시크를 출시해 세계적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국영 중앙(CC)TV는 설특집 종합 쇼 프로그램인 '춘완(春晩)'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군무를 반영하면서 로봇에 대한 관심이 커진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유니트리 로보틱스가 공개한 G1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큰 화제를 모은 제품이다. 지난 12일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둥닷컴에서 예약판매를 시작하자마자 매진됐고 그 고급 공업형 버전인 H1마저 품절됐다. 유니트리의 G1 로봇은 키 1.27m, 무게 35kg으로, 판매가는 약 9만9천위안(약 1950만 원)이다. 중국의 다른 로봇 회사들도 다양한 휴머노이드 로봇 대여 사업에 뛰어들고 있어 중국의 로봇 대중화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여진다.

 

사진/유니트리

이는 기존의 로봇들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도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를 생성하고 있다. 중국내에서 아직은 개인이 소유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기업체나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고 이벤트 행사와 교육용으로 활용하면서 후머노이드 로봇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로봇의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정밀하고 효율적인 동작을 구현하고 있다는 평이다. 주변 지형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해 장애물이나 예기치 못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해 내고 있다. 또한 학습을 통한 성능을 개선하면서 로봇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 똑똑해지는 강화학습 기반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유니트리 G1이 테슬라의 옵티머스와 비교했도 손색이 없다는 평이다.

 

왕싱싱 유니트리의 창업자는 "5년 이내 거의 모든 가구가 휴머노이드 로봇을 소유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중국 국영 중앙(CC)TV 중국 로봇 군무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