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서학개미' 그리고 '투자이민'이었다. 미국 증시가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며 개인투자자들이 '국장'을 떠나 '미장'으로 너도나도 투자이민을 떠났다.
지난해 뉴욕 증시는 뜨거운 랠리로 이민자들의 갈증을 풍족하게 채웠다. S&P500 지수는 한해 23%의 연간 수익률을 기록했다. 2023년부터 2년간 상승률은 53%에 달한다. 지난해 나스닥과 다우 지수도 각각 29%, 13%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는 -9.6%를 기록했다.
2025년, 투자자들은 다시 고민에 빠졌다. 오를 대로 오른 미장에 있자니 불안하고, 국장으로 돌아오자니 믿을만 한 호재가 없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각종 정책 변화는 불안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과연, 미국 증시는 더 오를 것인가'라는 질문을 안고, 이춘광 레그넘투자자문(이하 레그넘) 대표를 1년만에 다시 찾았다.
레그넘은 미국 상장지수펀드(ETF)에만 투자하는 펀드다. 수치와 근거를 기반으로 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주식, 채권 뿐 아니라 통화, 부동산, 인프라 등을 포함하는 9개 다양한 자산으로 ▲글로벌 혁신테마형 ▲글로벌 자산배분형 ▲글로벌 혁신 주식형 ▲글로벌 리츠형 ▲글로벌 안정형 등 테마에 따라 4개 포트폴리오를 운용한다.
지난해 초 이춘광 대표는 "2024년 미국 증시는 조금의 변동성이 있겠지만 우상향을 지속할 것"이라며 "미국 밖에는 답이 없다"고 힘주어 말했었다. 실제로, 지난해 레그넘 글로벌 자산배분형 펀드는 31.73%의 수익을 냈다. 지난 2022년 1월 설정 이후 3년간의 수익률은 71.34%에 달한다.
다시 만난 이 대표는 "올해 미국 시장은 체질적으로 더욱 젊고 건강해지는, 소위 '벤자민 버튼의 경제'가 될 것"이라며 "연초 관세 이슈 등으로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조금만 길게 보면 걱정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답했다.
- 트럼프 행정부 2기, 어떻게 예상하나.
"1기 때보다도 좋을 것으로 본다. 실물경제를 자본시장이 반영한다고 본다면, 트럼프 2기는 경제 펀더멘털, 더 나아가 미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작업을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그동안의 공백기를 거치며 공부를 많이 했고 1기 때보다 더욱 탄탄한 인맥을 쌓았다. 특히, 이번이 그에겐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고 전략적인 행보를 취할거라고 본다. 트럼프를 극단적이라고 비판하고 폄하하는 말들이 많지만, 실제 트럼프의 정책은 매우 합리적이고 아카데믹하다."
- 트럼프를 높이 평가하는 이유는.
"2021년 미국에서 발표된 인프라 투자 및 고용법(IIJA )은 도로, 공공건물 등 낙후된 인프라를 보수하고 다양한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겠다는 법이다. IIJA법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공표했지만 사실상 트럼프가 준비한 법이다. 해외 진출한 기업과 생산 공장을 미국으로 다시 불러들이는 '리쇼어링' 정책 역시 트럼프의 작품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역시 미국을 바로 세우고 강건하게 만들겠다는 정책을 일관되게 수행할 것이다."
-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이 긍정적인가.
"우선 감세 정책이다. 트럼프 2기의 공약 중 하나가 1기에 25%로 낮춘 법인세를 다시 15%로 인하하겠다는 것이었다.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트럼프의 감세에 대한 의지는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1기 시행했던 감세법(TCJA)은 2기까지 연장이 결정됐다. 소득세와 법인세가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개인 소비와 기업들의 투자 여력이 모두 확대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 하나가 규제 완화 부분이다. 트럼프는 '작은 정부'를 내세우며 이제까지 계류 또는 검토 중이던 쓸데 없는 규제들을 전부 없애겠다고 밝혔다. 방만 경영을 통해 빠져나가던 재정 지출도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미국을 더 강한 나라로 탈바꿈 하겠다는 트럼프의 의지는 어느 때보다 강하다.
이 대표는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북미지역학 석사를 받은 '미국 전문가'다. 알리안츠와 JP모건 등 다양한 글로벌 금융기업의 자산운용역을 거치며 25년간 쌓은 경험을 더해, 심도 깊은 거시 분석을 통한 근거있는 전망을 제공하고 있다.
전 세계 많은 경제학자들이 "2023년, 미국에 극심한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 예상하던 2022년 4분기. 레그넘은 줄곧 "2023년 미국에는 골디락스(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상태)'가 올 것"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리고 그 예측은 정확히 맞았다. 2023년 미국은 근 20년 만에 3%대의 놀라운 경제성장률을 달성했고, 인플레이션도 막아냈다.
- 버블 우려가 계속된다.
"미국이 지난 2년간 많이 상승한 것은 맞다. 하지만 버블에 대한 우려는 시장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다. 주가는 분명 오를만 하기 때문에 올랐다. 지난 2년간 미국 경제 체질이 너무 좋았다. 앞으로 미국 경제는 적당한 감속을 통해 적절한 성장 강도의 영역에 진입하면서 체질적으로 더욱 견실해질 것으로 보인다. 2022년 말, 2023년 초반에 경기침체론이 극대화 됐을 때도 침체 신호를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당시 욕을 먹으면서도 낙관론을 고집할 수 있었던 것은 각종 경제지표와 정책이 뒷받침하는 충분한 근거가 있었기 때문이다."
- 올해 미국 경기는 여전히 낙관적인가.
"미국 중소기업 경기지수(NFIB)가 최근 82%에서 105% 까지 늘면서 6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중소기업은 물론 그 아래 자영업자들까지 성장세가 번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미국 경제 성장의 낙수 효과가 경기에 가장 민감한, 끝 단에 있는 자영업자에까지 내려간 것이다. 미국은 현재 실업률이 4% 이하인 완전 고용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감세 정책으로 소비와 투자가 늘어 경제가 활성화 되고, 재정도 안정화 되면 미국 경제는 더욱 견고하고 건강해질 수 밖에 없지 않겠는가. 그동안 미국 경제가 늙어 있었다면 올해는 젊은 시절로 회춘하는 소위 '벤자민 버튼의 경제'가 될 것이다. 현재의 관세 등으로 인한 시장 변동성은 그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진통이라고 보고 있다."
- 위험 요소는 없나.
"굳이 꼽자면 물가상승 압력이다.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가장 큰 임팩트가 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밸류에이션 문제가 잠재 리스크가 될 수 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들이 너무 비싸졌다는 것. 이러한 이유들로 증시에 적당한 변동성이 있을 수 있지만 우상향 추세는 변하지 않을 거라고 본다. 일시적인 조정은 좋은 저가매수 기회가 될 것이다."
레그넘은 철저한 '톱다운(Top-Down)' 방식을 고수한다. 시장이 오를 때 치고 나가진 않지만, 하락장에 탄탄한게 방어할 수 있는 전통적인 투자 전략을 고집스레 지켜가고 있다.
지난해 레그넘이 운용하는 ▲글로벌 자산배분형(31.73%) ▲글로벌 혁신 주식형(27.98%) ▲글로벌 리츠형(20.92%) ▲글로벌 안정형(22.96%) 등 4개 포트폴리오의 평균 수익률은 25.89%를 기록했다.
특히 빅테크주가 포함된 '글로벌 혁신 주식형'의 경우, 엔비디아를 필두로 지난해 인공지능(AI) 테마로 미국 증시를 견인한 소위 'M7'의 비중이 13%로 적은 편이다. 대신 AI 성장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다양한 업종들로 분산 투자한다.
이 대표는 "상승장에서 2등하고, 하락장에서는 꼴등을 하는 것은 절대 좋은 포트폴리오가 아니다"라는 말을 늘 강조한다. 실제로, 전 세계 증시가 부진했던 지난 2022년, 레그넘 글로벌 자산배분형 펀드는 거의 유일하게 10.92%의 수익율을 지켜냈다.
그는 올해 미국 증시는 한 업종이 주도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업종이 함께 오르는 '건강한' 장세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레그넘이 고집스레 지켜온 투자전략도 더욱 빛을 발할 전망이다.
- 미국 증시는 올해 더 오르나.
"우상향 추세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다만, 지난 2년간 M7가 증시를 끌어왔다면 올해부터 그런 시장은 오지 않을 것이다. 올해 들어 빅테크 업종은 지지부진 하지만, 그 외 금융, 에너지, 통신, 서비스, 소재 등 업종이 더 오르며 상승세가 시장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2025년 미국 증시는 M7와 같은 특정 업종에 흔들리는 시장이 아닌 훨씬 탄탄하고 건강한 상승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빅테크 테마는 끝난건가.
"엔비디아는 2년간 700%나 올랐다.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에 감속을 하는게 당연하다. 분기별로 500% 가까이 올랐던 주당순이익(EPS) 성장률도 현재는 100%로 하향 안정화 되고 있다. 상승세가 줄어드는 것일 뿐 빠질 것이란 걱정은 이르다. 주가는 점차 감속하며 오를 것으로 본다."
-올해 투자전략에 대한 조언을 해준다면.
"그동안 테크주에 '몰빵' 했다면 올해부터는 분산, 배분 전략을 써야한다. 경제가 전반적으로 건강해지면 그동안 오르지 못했던 더 많은 업종들이 상승하기 시작할 것이다. 다양한 자산에 배분하고, 업종과 종목에 분산해 시장 하락에도 대응하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가 훨씬 중요해질 것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