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MWC25] 韓 중소·스타트업, MWC 현장 빛내

독서 플랫폼 최초로 MWC에 참가한 밀리의서재가 내놓은 'AI 독파밍'의 모습. AI 독파밍은 도서에 대한 사용자 질문 의도를 파악해 책 속에서 원문을 정밀하게 안내하는 서비스로 밀리의서재 자체 기획, 개발 기술이다. /밀리의서재

MWC25에 출격한 우리 중소·스타트업 기업들이 큰 주목을 받으며 활약했다.

 

올해 우리 기업은 지난해보다 많은 200여 기업이 개별로 또는 정부 통합 부스를 통해 참가해 통신·인공지능(AI) 인프라부터 B2C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의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정부 또한 물심양면 출전 기업들을 뒷받침 했다.

 

6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22곳 늘어난 187개사가 MWC25에 참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가 마련한 통합한국관에 참가한 기업은 147개 기업이며 나머지 기업은 개별 부스를 차렸다.

 

MWC 통합한국관은 개막 첫날 방문객 823명, 상담 건수는 162건, 상담액 3260만3000달러(약 475억원), 계약 추진액 771만8000달러(약 112억원)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의 'K-AI 얼라이언스'를 통해서는 전체 30개 회원사 중 7개 회원사가 참가했다. K-AI 얼라이언스는 국내 AI 혁신기업 연합으로 2023년 SK텔레콤 주도하에 설립한 단체다. 국내 AI 역량을 결집하고, 다양한 AI 기술과 서비스를 공유 및 협업해 대외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참가 회원사는 ▲노타AI ▲래블업 ▲리벨리온 ▲몰로코 ▲엑스엘에이트(XL8) ▲투아트 ▲트웰브랩스다.

 

1조3000억원 규모의 회사가치를 인정 받은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은 MWC에서 펭귄 솔루션스, SK텔레콤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사의 경쟁력과 사업 경험을 결합해 AI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와 시장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 AI 인프라의 에너지효율성과 경제성 역시 고객에게 중요 평가기준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선 각 분야의 전문성을 지닌 기업이 모여 시너지를 내는 게 필수적이기에 이번 MOU가 효율적인 AI 데이터센터 생태계 구축의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여러 기업들이 참가한 가운데 밀리의서재가 독서플랫폼 최초로 MWC에 참가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밀리의 서재는 AI를 활용한 두 가지 독서 서비스를 선보였다. AI가 작가의 저서와 철학을 학습해 사용자가 실제로 해당 저자와 대화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AI 페르소나 챗봇'과 도서에 대한 사용자 질문 의도를 파악해 책 속에서 원문을 정밀하게 안내하는 'AI독파밍'을 선보였다.

 

밀리의서재 AI 서비스본부 방은혜 본부장은 "MWC 2025를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밀리의서재 AI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어 뜻깊었다"며 "이제 AI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독서의 깊이와 확장성을 한 단계 높이는 조력자로, 밀리의서재는 기술과 콘텐츠의 경계에서 독서 경험의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AI 에듀테크 기업 구루미는 AI 기반 자율 학습 관리 플랫폼 '구루미 올리고'와 '구루미 LMS'를 AI를 활용해 통합한 서비스를 공개했다. 구루미 AI에듀 서비스는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강의관리, 학생관리, 성적관리뿐 아니라 교수자가 학생들의 '자율학습'을 관리하고 학생들간 자연스러운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온라인 스터디 카페'를 개설할 수 있다.

 

MWC25에서 우리 기업들과 글로벌 트렌드를 살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기업의 기술 성장을 위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컴퓨팅 인프라 확보 등 지원 의지를 굳게 나타냈다.

 

유 장관은 "네이버, 카카오, 엑사원, 익시 등이 AI 모델을 잘 개발하고 있다"면서 "GPU를 구입해 언어모델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면 딥시크 수준은 금방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