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MWC 25 결산] "주객전도된 첨단기술의 장"…AI 스마트폰부터 디바이스 신기술까지 '각축전'

삼성·SK하닉 HBM 등 차세대 반도체 전시
SKC 차세대 기판 실물전시
삼성디스플레이, OCF 적용 스마트폰용 OLED 첫 공개
샤오미 전기차 SU7 공개

SKC 글라스 기판이 AI 데이터 센터에 적용된 모습으로 전시되어 있다./SKC
지난 3일(현지 시간) 오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5 샤오미 부스에 전시된 전기차 '샤오미 SU7'./뉴시스

 

 

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가 6일 막을 내린다. 그간 MWC는 이동통신사의 무대였지만 특히 올해부터 반도체는 물론 전자 부품 기업들까지 대거 출동하며 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진 모습이 핵심으로 떠올랐다.

 

'MWC 2025'는 지난 3일(현지시간)부터 이날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 전시관에서 열렸다. MWC25 주제는 '융합하라(Converge). 연결하라(Connect). 창조하라(Create).'다. AI가 핵심 산업트렌드로 부상하면서 다양한 모바일기술을 연결해 새로운 시장과 솔루션을 창조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슬로건이다. 참여 기업은 무선통신과 AI반도체, 통신장비,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 등 모든 분야를 총망라한다.

 

이처럼 산업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올해 MWC의 참여 기업들도 대폭 늘었다. 특히 올해 MWC25에 참가하는 국내 기업은 전년보다 22곳 늘어난 187개사로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이후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이통 3사 등 109개사와 스타트업 78개사가 참여한다. 스페인, 미국, 중국에 이어 4번째 규모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기업들이 대거 참석했다. 국내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참석했으며 글로벌 기업은 엔비디아, 퀄컴, 인텔 등이 참여했다.

 

먼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AI 데이터센터, 모바일(온디바이스 AI), 오토모티브(차량) 등 AI 반도체를 소개하는 프라이빗 부스를 운영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전용 부스를 통해 HBM과 올해 AI 반도체 등을 차세대 AI 제품을 선보였다. 구체적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3E) 등 AI 메모리와 이미지 센서 등을 소개했다. 여기에 엑시노스2400과 엑시노스 오토 V920 등 차세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차량용 반도체를 공개했다. 이밖에도 모바일 부문에서는 AI 기능을 확대 적용한 신규 '갤럭시 A 시리즈'는 물론 신규 웨어러블인 확장현실(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을 선보였다. AI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추격에도 선두를 잃지 않겠다는 의지다.

 

SK하이닉스는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스토리지 등 첨단 제품, SKC의 유리 기판, 리벨리온의 AI 추론 특화 신경망처리장치(NPU) 관련 기술력도 선보였다.이를 통해 '풀 스택 인공지능(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서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이례적으로 엔비디아도 이번 MWC25에서 자사 제품을 선보이는 데 힘을 쏟았다. 업계에 따르면 피라 그란비아 전시장 근방 지하철역을 엔비디아 광고판이 모두 차지했다는 후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 MWC 2025 부스 입구./삼성디스플레이

올해 MWC에서는 국내 전자부품 기업들도 두각을 나타냈다.

 

먼저 삼성디스플레이는 최대 5000니트(nit) 밝기의 차세대 스마트폰 OLED를 전시했다.이 제품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상용화한 '무(無) 편광판 디스플레이'인 'OCF(On-Cell Film)' 기술을 토대로 개발됐다. 온디바이스 AI 시대에는 고연산 작업에 많은 전력이 소모됨으로써 디자인을 개선하면서도 소비전력은 줄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고객 수요가 높다. 이에 OCF가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는 이유다.

 

SKC는 SK텔레콤이 운영하는 전시관 내 AI 데이터센터 구역에서 글라스기판을 실물 전시했다. 글라스기판은 AI 데이터 처리 성능을 극대화하는 핵심 기술로 소개된다. 유리 기판 특유의 높은 평탄도와 열 안정성을 바탕으로 기존 유리기판 대비 초미세 회로 구현이 가능하다

 

삼성전기는 고객 미팅 용도로 프라이빗 부스를 꾸렸다. 장덕현 사장이 직접 방문해 고객사와의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

 

무엇보다 중국 업체들의 선전이 관전 포인트였다. 올해 초 미국 제재로 CES 무대를 밟지 못했던 화웨이는 1관을 통째로 빌리며 최대 규모인 1200m²부스를 꾸렸다.

 

특히 샤오미는 이번 MWC에서 스마트폰부터 전기차, 가전제품에 이르는 탄탄한 AIoT 생태계를 구축한 점을 선보였다. 자사 플래그십 단말기 스마트폰을 공개할 뿐만 아니라 전기차를 시리즈를 전시했다.

 

샤오미가 공개한 신형 스마트폰는 '샤오미 15 울트라'다. 이 제품은 자체 OS인 '하이퍼 OS2'를 탑재해 성능을 대폭 개선했으며 구글과의 협력으로 제미나이도 탑재해 AI 기능을 지원한다.

 

전기차는 AI 기능을 탑재한 '샤오미 SU7 울트라'다.디스플레이 아래쪽 공간에 샤오미 스마트폰을 두면 자동으로 연동돼 디스플레이에 스마트폰 화면이 표시된다. 이후에는 스마트폰 기능을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 관계자는 "이번에 처음 선보인 '샤오미 SU7 울트라 전기차'는 5분 충전으로 200㎞까지 주행 가능하고, 10%에서 80%까지 충전하는 데 2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