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미들마켓 M&A 주목...부담 적고 성장 잠재력 높고 '안할이유 없네~'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인수...호텔과 항공산업 간 시너지 창출

 

한화호텔, 아워홈...급식업 재진출

 

웅진, 프리드라이프...교육·상조업 신사업 추가

 

최근 기업 투자 시장에서 중소·중견기업 대상의 미들마켓 M&A가 주목받고 있다. 대규모 기업 M&A와 달리 자금 조달 부담이 적은데다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는 평이다. 이에 M&A선진국인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미들마켓 M&A가 부상하는 분위기다.

 

9일 산업계에 따르면 컴투스홀딩스(구 게임빌)의 컴투스 인수는 미들마켓 M&A의 전형적 사례로 꼽힌다. 게임빌은 지난 2001년 설립됐으며 피처폰 모바일 게임개발에 주력해왔다. 게임빌은 본업 강화를 위해 같은 장르를 개발하고 있는 컴투스를 M&A대상으로 지목했고 2013년 이영일 컴투스 창업주와 특수관계인의 지분 21.37%를 총액 700억원에 인수했다. 2021년 게임빌은 사명을 컴투스 홀딩스로 바꾸며 멀티 콘텐츠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지난해 말 이용국 컴투스홀딩스 경영고문은 스타트업 M&A 활성화 주제 토론회에서 "기업이 발전하고 성장해나가는 과정에서 스타트업과의 인수합병은 적극 임해야 한다"며 "컴투스홀딩스의 성장 곡선에는 M&A가 핵심 역할을 했다. 신속한 M&A가 2차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대명소노타워 전경/대명소노그룹

대명소노그룹도 티웨이항공을 인수하면서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앞으로 티웨이항공의 경영진·사명교체까지 진행될 것으로 전망돼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명소노그룹의 지주사 소노인터내셜은 지난달 26일 티웨이항공 지분 28.02%를 보유한 티웨이홀딩스 지분 46.2%를 2500억원에 인수했다. 이번 인수로 대명소노그룹은 지난해 8월 확보한 티웨이항공 26.77%를 더해 지분 총 54.79%를 확보하게 됐다. 티웨이항공 지분 54.79%를 얻기 위해 대명소노그룹이 투입한 자금은 총 4397억원이다.대명소노그룹은 보유하고 있는 국내 20개 호텔·리조트와 항공산업 간 시너지를 창출해 차별돠된 서비스를 제공 할 방침이다.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한화호텔앤드리조트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역시 아워홈 인수로 급식사업을 넘어 신성장 동력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화는 지난달 11일 아워홈 지분 58.62%를 총 869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지분 100%를 기준으로 한 기업가치는 1조5000억원 수준이다. 이번 인수건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삼남 김동선 부사장이 직접 주도한 만큼 딜 성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김 부사장이 집중하고 있는 로봇과 인공지능(AI), 식품을 결합한 푸드테크사업 역시 확장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화호텔은 아워홈의 유통망을 활용한 비용 절감이 목표다.

 

/프리드라이프

교육기업 웅진도 상조업계 1위 프리드라이프를 인수하면서 상조분야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저출산· 인구감소로 교육 업계의 미래가 불투명해진 가운데 상조 사업을 융합해 높은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

 

프리드라이프의 인수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9000억~1조원을 보고 있다. 웅진은 ▲교육 ▲정보기술(IT) ▲레저 등 계열사 상품들에 상조서비스를 활용한 결합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웅진 관계자는 "웅진씽크빅과 프리드라이프가 각각 보유한 교육과 상조 업계 최대 영업 인력과 전국 판매 네트워크가 합쳐져 국내 최대 방문 판매 조직을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