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묻지마 수주' 안 한다...K-조선, 고부가선박 집중 속 수주량 감소

HD현대삼호가 건조해 인도한 17만 4000 입방미터(㎥)급 LNG 운반선의 시운전 모습. / HD현대

조선업계에 연이어 호재 소식이 들려오지만 업황 지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글로벌 선박 발주 둔화와 수주량 감소가 맞물리면서 조선 빅3(HD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한화오션)가 누렸던 슈퍼사이클(호황기)이 예상보다 짧게 끝날 수 있다는 관측도 따른다. 조선업계는 당분간 신조선 발주 흐름과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글로벌 누적 선박 발주량은 384만 CGT(표준선환산톤수)로 전년동기 대비 65% 감소했다. 발주 감소의 원인으로는 2008년 이후로 가장 높은 수주 선가와 수주잔고가 지목된다. 특히 LNG운반선 기준 건조기간은 일반적으로 30개월 정도이나 현재 대부분의 조선사가 제공할 수 있는 건조 슬롯(도크)은 2028년 하반기 이후로 밀려있는 상황이다. 이는 평상시보다 1년 이상 인도 일정이 지연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높은 선가와 긴 납기가 선주들의 발주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수주 점유율이 증가세를 보이는 점도 국내 조선사에 부담으로 다가온다. 이달 중국의 전세계 수주잔고 점유율은 59.4%로 지난해 50.1% 보다 상승한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지난 2024년 29.3%에서 올해 23.8%로 낮아졌다. 수주잔고의 절대량도 중국은 지난 2008년보다 25% 증가한 9273만 CGT를 기록했으나 한국은 지난 2008년보다 44.8% 감소한 3713만CGT에 그쳤다.

 

국내 조선소별 수주잔량은 현재 기준으로 안정적인 수준이나 올해 신규계약 일감이 줄어든다면 10여년 만에 찾아온 호황기가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끝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불확실한 대외환경이 이어지고 있는 점도 선박 발주를 주저하게 하는 이유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한국과 조선업 협력을 시사하는 등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중국 조선업 제재조치 발표 이후실제 발효 과정에서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에 촉각을 두며 시장의 관망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세계 1위 선사 MSC는 USTR제재조치 발표 당일 중국으로 2만2000TEU((20피트 컨테이너 1개 크기)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4척을 발주했다. 그리스 선사 카디프 또한 1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을 중국으로 발주한 바 있다. 향후 글로벌 선사들의 중국향 발주를 지속할지 여부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조선사들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섣불리 가격 인하에 나서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는 관측도 따르고 있다. 지난 2월 기준 선종별 1척 가격은 17만4000m³ 이상 LNG 운반선이 2억5600만달러,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이 1억2600만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2억7500만달러다. 선가가 높아진 상황에서 무리한 가격 인하는 위험하다는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사들이 선별 수주 전략을 통해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나 전반적인 신규 수요 감소로 인한 전체 수주량 축소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다만 미국이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을 발의하면서 올해 신조선 발주 증가에 대한 기대감도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