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준형의 '청맹과니'] 구멍가게의 추억

김준형 칼럼니스트(우리마음병원장)

필자가 어릴 적, 동네마다 구멍가게가 있었다. 당시의 구멍가게는 어린이들의 천국이었다. 대부분 간판도 없는 가게였지만, 그곳에는 쭈쭈바 같은 아이스크림도, 뽀빠이 같은 과자도 있었다. 그런데 초등학교를 다닐 무렵이 되자, 슈퍼마켓이라는 것이 생겼다. 슈퍼마켓은 구멍가게보다 규모도 크고, 제품도 다양했으며, 값도 쌌다. 사람들은 구멍가게에 발길을 끊고, 슈퍼로 몰려가기 시작했다. 당연히 많은 구멍가게가 문을 닫았다. 그래도 살아남은 구멍가게들은 간판을 달기 시작했다. 간판에는 '○○슈퍼'라고 되어 있었다. 그렇게 슈퍼마켓은 한동안 유지되었다. 그런데 90년대가 되자, 대형마트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마찬가지로 대형마트들은 규모도 크고, 제품도 다양했으며, 값도 쌌다. 사람들은 슈퍼마켓을 떠나서, 마트로 발걸음을 옮겼다. 살아남은 슈퍼마켓들은 간판을 바꿔 달았다. 이번에는 슈퍼마켓들이 '○○마트'가 되어 버렸다.

 

최근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대주주인 MBK의 경영 방식에 대하여 비난도 있었지만,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 대형마트들의 경영난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형마트가 재래시장의 상권을 위협한다고 하여,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의무휴일을 부과할 정도였다. 그러나 코로나를 거치면서 e커머스가 급속도로 성장했다. 소비자들은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가격을 비교하고, 터치 몇 번으로 장을 볼 수 있는 신세계에 푹 빠져 들었다. 이제는 e커머스가 새로운 강자가 되었다. '어부지리'의 고사처럼, 조개와 도요새가 싸우는 동안, e커머스라는 어부가 등장해서 모두 잡아먹는 꼴이다.

 

코로나가 끝나도 마찬가지였다. 대형마트의 각종 악재는 수익성을 악화시켜 상품의 원가상승을 불러왔고, e커머스와의 경쟁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대형마트의 패배는 소비자들의 생활패턴을 '장은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보는 것'으로 빠르게 바꿔 버렸다. 이런 생활 패턴은 대형마트에게도 재래시장에게도 큰 재앙이다. 물론 재래시장의 상인들도 우리의 이웃이고, 국가가 보호해야 하는 대상이다. 그러나 수년이 지난 지금, 국가의 정책이 우리에게 남긴 것은 과연 무엇인가?

 

e커머스를 규제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아닐 것이다. e커머스에 규제를 가하면, 이 규제를 피한 또 다른 강자가 유통업계에 등장하게 된다. 이것은 필연이다.

 

구멍가게가 문을 닫을 때 사장님들은 '○○슈퍼'라는 간판을 달았다. 슈퍼마켓이 사라질 때도 '○○마트'라는 간판을 달았다. 이것은 시대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몸부림이었다. 생활패턴과 시대의 흐름은 법조항 몇 마디로 바꿀 수 없다. 그것은 지독한 오만일 뿐이다. 그런 것이 가능했다면 지금도 서울 거리에는 마차가 다니고, 서울 시민들은 북청물장수에게 한강물을 사서 마시고 있을 것이다. 시대의 큰 변화는 그렇게 해서 막아질 수도 없고, 또 막아서도 안 된다.

 

1910년대에 생긴 구멍가게에서 슈퍼마켓, 대형마트, e커머스로 유통시장은 변화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누군가는 승자가 되었고, 누군가는 일자리를 얻었다. 그러나 누군가는 눈물을 흘려야만 했다. 진정 국민을 위한 국가라면, 눈물 흘리는 국민을 위하여 '현상유지'를 고수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기회와 희망을 줄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김준형 칼럼니스트(우리마음병원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