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치솟는 생필품 물가…서민경제 한숨만 늘었다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농심 제품 라면이 진열돼 있다.농심은 고환율,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17일부터 라면과 스낵 17개 제품에 대해 출고가를 평균 7.2%를 인상했다./뉴시스

 

 

먹거리 가격 고공행진이 계속되면서 서민 경제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지속되는 고환율과 원자재 가격 인상 등으로 주요 식음료는 물론 프랜차이즈 제품 가격들까지 줄줄이 인상되고 있는 탓이다. 대표 서민 음식으로 꼽히는 '라면'마저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며 어려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신라면 이어 진라면도 올랐다

 

20일 오뚜기는 오는 4월1일 부터 라면류의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지난 2022년 10월 라면 가격 인상을 한 이후 2년 5개월만이다. 오뚜기는 총 27개의 라면 유형 중 16개 유형의 라면 제품 출고가를 평균 7.5% 인상한다.

 

대형마트 판매가 기준으로 진라면이 716원에서 790원으로, 오동통면이 800원에서 836원으로, 짜슐랭이 976원에서 1056원으로, 진라면 용기는 1100원에서 1200원으로 오른다.

 

농심 역시 지난 17일부터 신라면 가격을 1000원으로 다시 올리고, 새우깡 가격을 조정하는 등 총 56개 라면·스낵 브랜드 중 17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했다.

 

먹거리 가격 인상은 지속 확산되는 추세다. CJ제일제당은 이달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비비고 만두 20여종, 스팸 등 대표 제품 가격을 올렸다. 대표 제품인 왕교자 가격은 8980원에서 9480원으로 5.6% 올랐으며 스팸 클래식(200g)은 5080원에서 5580원으로 9.8% 인상됐다. 동원F&B도 3월부터 대형마트 유통채널에서 냉동만두 15종 가격을 평균 5% 올렸다.

 

빵 가격도 상승세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는 지난 1일부터 빵류 94종과 케이크 16종 등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 SPC 파리바게뜨도 지난달부터 빵 96종, 케이크 25종 가격을 평균 5.9% 올린 바 있다.

 

커피와 주류 등도 가격 인상에 동참했다. 스타벅스는 지난 1월 24일부터 아메리카노, 카페 라떼 등 톨 사이즈 음료 22종의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다. 파스쿠찌 역시 2월 1일부터 아메리카노, 카페 라떼 등 주요 음료의 가격을 100~600원 올렸다. 롯데아사히주류는 3월1일부터 아사히 수퍼드라이 캔제품은 400원, 병제품은 900원 인상한 바 있다.

 

식음료 업계는 고환율, 원료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으로 가격 인상 없이는 버티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오뚜기 관계자는 "최근 환율 상승으로 인한 팜유 등 수입원료의 가격 급등과 농산물 등의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고, 유틸리티 비용과 인건비 역시 높아진 상황"이라며 "이러한 원가 부담이 누적되어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10명중 7명 "경제적으로 어렵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가계 경제 부담은 점차 커지고 있다. 실제로 물가상승으로 올해 경제가 악화됐다고 답한 가계가 7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날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국민 1000명 대상 '민생경제 현황 및 전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1.5%가 "가계경제 상황이 1년 전에 비해 악화됐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개선됐다'는 의견은 28.5%에 그쳤다.

 

가계 경제 상황이 악화됐다고 답한 응답자들 가운데 71.9%가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로 '물가상승'을 꼽았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9.5%) ▲부채 증가(2.7%) ▲교육비 부담(1.7%)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물가가 가장 크게 올랐다고 느끼는 부문은 '식료품 및 외식비'로 전체 72%를 차지했다. 가장 부담되는 지출항목 역시 '식료품 및 외식비'라는 응답이 54.1%로 가장 높았다.

 

1년 후 가계경제 상황 전망을 묻는 질문에서는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64.2%로 나타났다. 반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35.8%에 그쳤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들의 가계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라며,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으로 투자와 고용확대를 유도하고, 특히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